행정 · 사기 · 기타 형사사건
㈜B 대표 A와 법인 ㈜B가 청년나래일자리지원 사업 보조금을 부당하게 받기 위해 퇴사한 직원 D과 E가 계속 근무하는 것처럼 허위 서류를 작성, 제출하여 총 2,400만 원의 보조금을 편취하고 부정 수급한 혐의로 기소된 사건입니다.
㈜B의 대표 A는 '청년나래일자리지원' 보조사업을 통해 인건비 보조금을 받을 목적으로, 실제로 며칠 근무하고 퇴사한 직원 D과 E가 계속 근무하는 것처럼 허위 서류들을 작성했습니다. 여기에는 허위 근로계약서, 급여 이체내역, 근무기록부, 근무일지, 멘토링 일지, 현장점검 체크리스트 등이 포함됩니다. A는 이 서류들을 전라북도 경제통상진흥원에 제출하거나 확인받아, D의 인건비 명목으로 2021년 11월부터 2022년 7월까지 9회에 걸쳐 총 1,440만 원을, E의 인건비 명목으로 2022년 2월부터 2022년 7월까지 6회에 걸쳐 총 960만 원을 부당하게 수령했습니다. 이로 인해 총 2,400만 원의 보조금을 편취하고 부정하게 수급한 사실이 발각되어 기소되었습니다.
대표 A가 허위 서류를 통해 보조금을 편취하고 부정 수급한 행위가 형법상 사기죄 및 보조금관리에관한법률위반죄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그 행위에 대해 법인 ㈜B에게도 책임이 인정되는지 여부가 주요 쟁점이 되었습니다.
피고인 A와 ㈜B는 각각 벌금 8,000,000원에 처해졌습니다. 피고인 A가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10만 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노역장에 유치하도록 명령했으며, 피고인들 모두에게 벌금에 상당하는 금액의 가납을 명령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들의 보조금 부정 수급 행위가 보조금의 적절한 관리와 공정한 집행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중대한 범죄임을 인정했습니다. 그러나 피고인 A가 범행을 인정하고 과거 형사처벌 전력이 없는 점, 그리고 부정 수급한 보조금 총 2,400만 원을 모두 반환한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벌금형을 선고했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부나 공공기관으로부터 지원받는 보조금은 그 목적과 지급 기준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으므로, 다음 사항들을 유의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