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동
원고 A는 피고 B가 운영하는 회사에서 '소사장'으로 근무하며 미지급 정산금, 부당하게 공제된 종합소득세, 부당하게 공제된 경리비용의 지급을 청구하였습니다. 법원은 피고가 원고에게 미지급 정산금 5,040,764원과 부당 공제된 종합소득세 2,976,146원을 포함한 총 8,016,910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다만, E 관련 정산금 120,000원과 경리비용 부당공제 주장은 기각되었습니다.
원고 A는 2017년 6월 27일부터 2021년 2월 28일까지 피고 B가 운영하는 C 회사에 '소사장' 직함으로 근무했습니다. 원고와 피고는 2018년 3월 9일 약정서를 체결하여 근무 및 정산 방식을 정했으나, 원고 퇴사 후 정산 과정에서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원고는 ▲2021년 1월, 2월분 미지급 정산금 5,160,764원(정산내역 누락분 520,000원 포함) ▲피고가 부담해야 할 2019년 6월분 종합소득세 793,576원과 2020년 6월분 종합소득세 2,182,570원 합계 2,976,146원을 원고의 노임에서 부당하게 공제 ▲피고의 처가 경리로 근무하지 않았음에도 2020년 4월부터 2021년 2월까지 경리비용 1,494,199원을 부당하게 공제하여, 총 9,631,109원의 미지급 및 부당공제액이 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피고는 E 관련 미지급 정산금은 받지 못했고, 종합소득세는 원고가 분담해야 하며, 경리비용은 실제 경리 업무 처리에 따른 정당한 공제라고 반박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세 가지입니다. 첫째, 피고가 원고에게 지급해야 할 미지급 정산금의 범위와 액수입니다. 둘째, 피고가 원고의 노임에서 2019년 및 2020년분 종합소득세를 공제한 것이 부당한지 여부입니다. 셋째, 피고가 원고의 노임에서 경리비용을 공제한 것이 부당한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원고의 청구 중 미지급 정산금 및 종합소득세 부당공제 주장을 일부 받아들여, 피고에게 총 8,016,910원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나머지 원고의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소송 총비용은 본소와 반소를 합하여 그중 1/10은 원고가, 나머지는 피고가 각각 부담하도록 결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