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서만 건설현장에서 16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고 해요. 총 10대 건설사에서 발생한 사망사고는 113명에 달한다고 하니 이 시점에서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국감 증인으로 채택되는 건 어쩌면 당연한 분위기입니다. 현대엔지니어링, 포스코이앤씨, DL건설 등 빅건설사 대표들이 국감 소환 압박을 받고 있는데요, 산재 문제를 ‘기업 탓’으로만 몰고 가는 정부의 고강도 대책이 배경이라고 해요.
이재명 대통령이 ‘건설면허 취소·공공입찰 금지’까지 거론하며 강력 제재를 언급하자 건설사들은 불안에 떨고 있어요. CEO들이 국감장에 불려 나가면 브랜드 신뢰는 물론이고, 발주처 평가에도 치명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CEO 출석 여부가 확정되지 않았다고 하니 어떻게든 증인 채택을 피하려고 백방으로 노력 중이라는 소식도 들려옵니다.
여기서 한 가지, 국감이 책임 추궁의 장이기보다는 문제 해결을 위한 ‘진솔한 대화’가 될 수 있을까요? 학계 전문가들은 “건설현장 사망사고 예방을 위한 법적 장치를 마련하고, 현장 노동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고 말합니다. CEO를 단순히 불러 창피주기식 질책으로 몰아가는 건 효과도 없고, 진짜 문제 해결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죠.
우리도 언젠가 가족과 동료가 건설현장에서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더 나은 법률과 제도를 요구해야 할 때가 아닐까요? 안전이 희생양이 되는 대신 누구나 믿고 일할 수 있는 현장이 되길 바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