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
원고는 파주시 소재 토지 및 그 지상 건물의 소유자입니다. 피고 파주시장은 원고 소유의 이 사건 건축물 중 369.65㎡가 건축법을 위반하여 무단 증축되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피고는 2023년 3월 24일 원고에게 시정명령, 이행강제금 부과, 대집행 등의 처분을 실시할 예정임을 사전 통지했습니다. 이후 피고는 2023년 4월 10일과 5월 15일에 걸쳐 원고에게 두 차례 시정명령을 통해 2023년 5월 11일과 6월 7일까지 무단 증축 부분을 철거하고 원상복구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원고가 이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자, 피고는 2023년 6월 26일 원고에게 43,526,280원의 이행강제금을 부과했습니다. 그럼에도 시정되지 않자, 피고는 2023년 9월 19일 원고에게 2023년 10월 10일까지 무단 증축 부분을 철거하지 않을 경우 행정대집행을 하겠다는 계고처분(사전에 알리는 처분)을 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이 계고처분이 위법하다고 주장하며 그 취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 사건은 건물 소유주가 자신의 소유 건축물이 불법으로 증축되었다는 이유로 행정기관으로부터 철거 시정명령과 이행강제금을 부과받고, 나아가 행정대집행을 예고하는 계고처분까지 받게 되자, 이에 불복하여 해당 계고처분을 취소해달라는 행정소송을 제기하면서 발생했습니다. 주요 갈등은 행정청이 내린 계고처분이 행정절차법, 행정대집행법, 건축법 등 관련 법규의 절차적, 실체적 요건을 준수했는지, 그리고 행정법의 일반 원칙인 신뢰보호, 평등, 비례의 원칙에 위반되는지 여부에 집중되었습니다.
원고는 피고 파주시장이 내린 행정대집행 계고처분에 대해 절차적 및 실체적 하자가 있다고 주장하며 그 취소를 구했습니다.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은 원고의 모든 주장을 배척하고, 피고 파주시장이 원고에게 한 행정대집행 계고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이 사건 판결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내용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