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통사고/도주
차량 수리를 맡긴 원고 A씨가 정비업체인 피고 B씨가 고장 원인과 수리 방법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지 않아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며 위자료 100만 원을 청구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피고가 고장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 노력했고 원고에게 수리 진행 상황을 고지했으며, 정확한 고장 진단이 어려웠던 점 등을 종합하여 피고가 설명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고 인정하기 어렵다며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원고 A씨는 자신의 차량 수리를 위해 피고 B씨의 정비업체에 차량을 맡겼습니다. 약 2개월간 수리가 진행되었는데, 원고는 피고로부터 수리 진행 상황을 고지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정확한 고장 원인, 수리 가능성, 수리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듣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피고가 차량 정비 계약에 따른 부수적 의무인 설명 의무를 다하지 않아 정신적 손해를 입었다며, 피고에게 위자료 100만 원을 지급할 것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차량 정비 계약에 따라 정비업체가 고객에게 차량의 고장 원인 진단 과정 및 수리 방법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할 부수적 의무를 이행했는지 여부와, 이를 위반했을 경우 정신적 손해배상(위자료) 책임이 발생하는지 여부입니다.
이 법원에서 원고가 교환적으로 변경한 청구(설명의무 위반으로 인한 위자료 청구)를 기각하며, 소송 총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이로써 원고는 피고로부터 위자료 100만 원을 받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원고가 피고의 설명 의무 위반을 이유로 제기한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법원은 피고가 고장 원인 진단을 위해 노력했고, 진행 상황을 원고에게 알렸으며, 고장 원인 진단 자체가 어려워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 못한 것을 피고의 잘못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결론적으로 피고에게 설명 의무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이 없다고 보아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정비 계약과 같은 용역 계약에서는 정비업체(수급인)가 차량 소유주(도급인)에게 고장 원인 진단 과정, 수리 방법, 예상 비용 등 중요 사항에 대해 설명할 부수적 의무가 있습니다. 이는 고객이 자신의 차량에 대한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취지입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피고가 고장 원인을 찾기 위해 노력했고, 원고에게 수리 진행 상황을 알렸으며, 고장 원인 자체가 복잡하여 정확한 진단 및 구체적인 설명이 어려웠던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습니다. 이에 따라 피고가 설명 의무를 위반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위자료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참고로, 민사소송법 제420조(제1심판결 인용)는 항소법원이 제1심판결을 정당하다고 인정한 경우 제1심판결의 이유를 그대로 인용할 수 있다는 절차적 조항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항소심 법원이 제1심에서 인정한 기초 사실에 대해 별도의 판단을 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였음을 의미하며, 이 조항 자체가 분쟁의 실체적 법리 판단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차량 수리 등 전문적인 서비스 계약 시에는 다음 사항들을 유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천지방법원 2022
부산지방법원 2023
부산고등법원창원 2022
대전지방법원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