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 기타 형사사건
C 주식회사의 O 석유생산본부장인 피고인 A은 안전보건관리책임자로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여러 안전조치 의무를 위반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작업장 통로에 장애물을 설치하고, 가스 검지 및 경보장치를 운영 불가 상태로 두며, 위험물 보관 시 정전기 발생 억제 조치를 하지 않고, 안전난간을 기준에 맞지 않게 설치한 행위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C 주식회사는 A의 이러한 안전조치 미이행에 대한 양벌규정으로 함께 기소되었습니다. 한편, 2023년 2월 23일에 발생한 황산 누출 산업재해와 관련하여서는, 검찰이 사업주의 안전조치 및 화학물질관리법 위반을 주장했으나, 법원은 해당 사고가 근로자 E의 임의적인 밸브 개방으로 발생했고, 회사는 충분한 안전 시설 및 절차를 마련하고 안전 교육을 실시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무죄로 판단했습니다.
C 주식회사의 O 석유생산본부에서 다양한 안전 수칙 위반 사항이 적발되었습니다. 특히 2023년 2월 23일에는 황산 누출 보수작업 중 근로자 E이 메인 밸브를 임의로 개방하여 황산에 노출, 2도 화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검찰은 이러한 전반적인 안전관리 미흡 및 황산 누출 사고에 대해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인 A과 법인 C 주식회사의 책임을 물었습니다. 황산 누출 사고에 대해서는 회사가 안전보호구 및 작업 절차를 마련하고 교육했으나, 사고 당일 근로자 F가 시건장치 및 꼬리표 부착을 누락하고 근로자 E이 자신의 담당 업무가 아님에도 임의로 밸브를 개방하여 발생했다는 점에서 사업주의 책임 범위가 주된 쟁점이 되었습니다.
피고인 A에게는 벌금 200만 원, 피고인 C 주식회사에는 벌금 400만 원이 각각 선고되었습니다. 피고인 A이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10만 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노역장에 유치됩니다. 한편, 2023년 2월 23일 발생한 황산 누출 관련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및 화학물질관리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는 검사의 증명이 부족하다고 보아 무죄가 선고되었습니다.
법원은 C 주식회사와 그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인 A이 여러 건의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조치 의무를 위반했음을 인정하여 벌금형을 선고했습니다. 그러나 특정 황산 누출 사고에 대해서는 회사가 필요한 안전 설비와 절차를 갖추고 교육을 실시했음에도 불구하고 근로자 개인의 임의적인 행동으로 사고가 발생했으므로 사업주의 책임을 묻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이는 사업주의 안전조치 의무 이행 범위와 근로자의 책임 사이의 균형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 사건에서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형법
형사소송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