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독일 본사의 한국 법인에서 인사 담당 임원으로 근무하던 원고 A는 대표이사의 지시 불이행, 인사팀장의 권한 임의 정지, 대표이사 사임 관련 부적절한 발언, 내부 감사 및 징계 절차 방해 등 여러 징계 사유로 인해 2019년 8월 13일 징계 해고되었습니다. 원고 A는 이 해고가 부당하다고 주장하며 부산지방노동위원회에 구제 신청을 하였으나 기각되었고, 이어 중앙노동위원회에 재심을 신청하였으나 역시 기각되었습니다. 이에 불복하여 원고 A는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 판정을 취소해달라는 행정 소송을 제기하였으나, 법원은 원고 A의 주장을 모두 기각하고 회사의 징계 해고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B 주식회사의 인사 담당 임원이었던 원고 A는 내부 감사 과정에서 E 전무의 매출실적 허위보고 비위가 드러나자, 대표이사 F의 E 전무 징계 관련 지시에 불응하고, 오히려 E 전무의 비위 조사에 개입하여 절차를 방해하려 했습니다. 또한 자신의 지휘 아래 있던 G 인사팀장의 권한을 임의로 정지시키고 정당한 업무 출장을 방해하며 질책했으며, 대표이사의 사임에 관한 유언비어를 사내에 유포하는 등 여러 차례 사내 질서를 문란하게 하고 대표이사에 대한 불복종 행위를 저질렀습니다. 이에 회사는 2019년 8월 13일 인사위원회를 개최하여 원고 A를 징계 해고했습니다. 원고 A는 이 해고가 부당하다며 노동위원회에 구제 신청 및 재심 신청을 하였으나 모두 기각되자, 최종적으로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 판정을 취소해달라는 행정 소송을 제기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은 원고 A의 주장을 모두 기각하고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 판정이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재판부는 원고 A가 제기한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 취소 청구를 기각하며, 소송 비용은 원고 A가 모두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하여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슷한 문제 상황에서 이 판례를 참고할 때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