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통사고/도주
C의 배우자인 원고 A가 C의 5촌 조카 E가 운전하던 C 소유 차량에 동승 중 문이 열려 도로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원고는 E의 보험자인 피고 B 주식회사에 다른 자동차 운전 담보 특약에 따라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피고는 원고의 차량 운행 지배 및 운행이익을 주장하며 특약 적용을 거부하고 소멸시효 완성을 주장했습니다. 법원은 운전자 E의 안전운전 주의의무 위반 과실을 인정하고, 다른 자동차 운전 담보 특약의 취지상 원고를 사고 피해자로 보아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원고의 안전벨트 미착용 등 과실을 참작하여 피고의 책임을 70%로 제한하고, 피고가 원고의 치료비를 꾸준히 지급한 사실로 소멸시효가 중단되었다고 보았습니다. 최종적으로 법원은 일실수입, 치료비, 개호비, 위자료 등을 산정하여 책임보험금 한도액을 초과하는 963,789,525원 및 지연이자를 피고가 원고에게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2010년 2월 7일, 원고 A는 배우자 C의 5촌 조카 E가 운전하던 C 소유의 D 차량에 동승하여 진주시 G에 소나무 접순을 채취하러 가던 중이었습니다. 당시 C의 부탁으로 E가 운전대를 잡았는데, 이 사건 차량의 뒷좌석 문이 열린 상태였음에도 E는 이를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같은 날 오전 9시 30분경, 진주시 명석면 국도 3호선 도로를 진행하던 중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채 뒷좌석에 탑승하고 있던 원고 A가 열려진 뒷좌석 문을 통해 도로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로 원고 A는 머리 내 열린 상처, 외상성 경막 상하 출혈, 미만성 뇌 손상 등 심각한 상해를 입게 되었습니다. 원고 A는 운전자 E가 가입한 자동차종합보험의 '다른 자동차 운전 담보 특약'을 근거로 E의 보험자인 피고 B 주식회사에 손해배상을 청구하게 되었습니다.
사고 운전자 E의 안전운전 주의의무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이 있는지, E의 보험사인 피고 B 주식회사가 '다른 자동차 운전 담보 특약'에 따라 손해배상 책임이 있는지, 그리고 원고의 차량 운행자 지위가 특약 적용을 배제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또한, 원고의 안전벨트 미착용 과실이 손해배상액에 미치는 영향(과실상계)과 기왕 치료비 청구에 대한 소멸시효 완성 여부도 중요한 쟁점이었습니다. 최종적으로 사고로 인한 원고의 일실수입, 치료비, 보조구 비용, 개호비, 위자료 등 전체 손해액을 산정하고 책임보험금 초과 부분을 보상할 의무가 있는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졌습니다.
법원은 피고 B 주식회사는 원고 A에게 963,789,525원과 이에 대하여 2010. 2. 7.부터 2020. 4. 24.까지 연 5%, 그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12%의 각 비율로 계산한 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의 나머지 청구는 기각되었으며, 소송비용 중 35%는 원고가, 나머지는 피고가 각 부담하도록 결정했습니다.
법원은 운전자 E가 동승자의 안전을 위한 주의의무를 위반하여 이 사건 사고를 야기하였고, 이로 인해 원고가 상해를 입었으므로 E에게 불법행위자로서 손해배상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E의 보험자인 피고 B 주식회사는 E의 자동차종합보험에 포함된 '다른 자동차 운전 담보 특약'에 따라 원고가 입은 손해 중 책임보험금을 초과하는 부분을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피고가 원고를 차량 운행의 지배 및 이익을 가진 운행자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 점에 대해서는, 특약의 목적이 피보험자의 편의를 꾀하고 사고 피해자를 구제하는 데 있으므로, E와의 관계에서는 원고를 피해자로 보아야 한다며 피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다만, 원고가 사고 당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아 손해의 발생 및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하여 피고의 책임을 70%로 제한했습니다. 또한, 피고가 사고 이후 장기간 원고의 치료비를 직접 지급해 온 사실을 인정하여 소멸시효가 중단되었다고 보아 피고의 소멸시효 완성 주장을 배척했습니다. 이에 따라 법원은 원고의 재산상 손해액(일실수입, 기왕 치료비 및 소모품비, 향후 치료비 및 보조구 비용, 개호비)과 위자료를 합산한 후 과실상계 및 책임보험금 한도액을 공제하여 최종적으로 963,789,525원을 피고가 원고에게 배상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이 사건 판결에는 다음과 같은 법령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참고할 몇 가지 사항이 있습니다.
서울남부지방법원 2020
서울중앙지방법원 2020
수원지방법원안산지원 2022
서울중앙지방법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