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금전문제
지역주택조합의 조합원들이 아파트 건설 사업에 참여하며 안심보장증서를 받았으나, 이 증서가 조합 총회 결의 없이 발행되어 무효가 되자, 조합원 가입 계약 전체가 무효임을 주장하며 납부했던 분담금의 반환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안심보장증서가 총유물 처분에 해당함에도 총회 결의가 없었으므로 무효이고, 이 증서가 조합원 가입 계약의 핵심적인 부분이었으므로 가입 계약 또한 무효가 되어 조합은 원고들에게 분담금을 반환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원고 A과 B는 피고 H 지역주택조합이 시행하는 아파트 건설 사업에 조합원으로 가입하여 각각 25,000,000원의 분담금을 납부했습니다. 피고 H는 이들 조합원에게 사업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할 경우 납부한 분담금 전액을 반환하겠다는 내용이 기재된 '조합원계약 안심보장증서'를 교부했습니다. 이후 원고들은 이 안심보장증서가 조합 총회 결의 없이 발행되어 무효이며, 이로 인해 조합원 가입 계약 자체가 무효가 되었다고 주장하며 피고에게 납부한 분담금의 반환을 요구했습니다.
지역주택조합이 조합원에게 발행한 '조합원계약 안심보장증서'가 비법인사단의 총유물 처분행위에 해당하여 조합 총회 결의가 필요한지 여부, 그리고 총회 결의 없이 발행된 증서가 무효일 경우, 해당 증서와 불가분적으로 결합된 조합원 가입 계약 역시 무효가 되는지 여부가 주된 쟁점입니다.
법원은 원고 A과 B의 주장을 받아들여, 피고 H는 원고 A과 B에게 각각 25,000,000원씩, 총 50,000,000원과 이에 대한 2023년 6월 13일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12%의 비율로 계산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소송비용은 피고가 부담하며, 제1항은 가집행할 수 있습니다.
법원은 조합원들이 납부한 분담금이 비법인사단인 지역주택조합의 '총유물'에 해당한다고 보았습니다. '조합원계약 안심보장증서'의 내용은 사업 진행 불가 시 분담금 전액을 환불하는 것으로, 이는 총유물인 분담금을 감소시키는 '총유물 처분행위'에 해당합니다. 민법상 총유물 처분은 조합 정관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반드시 '사원총회의 결의'를 거쳐야 하는데, 피고 H는 이러한 총회 결의 없이 안심보장증서를 발행했습니다. 따라서 안심보장증서는 무효입니다. 또한, 법원은 지역주택조합 사업의 예측 불가능성과 높은 위험성을 고려할 때, 분담금 전액 반환 보장 약정은 조합원들이 가입 계약을 체결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안심보장증서가 무효임을 알았더라면 원고들이 조합원 가입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을 것이므로, 민법 제137조의 '일부무효 법리'에 따라 무효인 안심보장증서와 불가분적으로 결합된 조합원 가입 계약 전체가 무효가 된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피고 H는 원고들에게 납부받은 분담금을 법률상 원인 없이 얻은 이득, 즉 부당이득으로 반환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이 사건에는 두 가지 주요 법령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첫째는 '민법 제275조 및 제276조 제1항'으로, 비법인사단(지역주택조합과 같은 법인 아닌 단체)의 '총유물' 관리 및 처분에 관한 규정입니다. 이 법 조항에 따르면, 비법인사단의 재산은 조합원들이 함께 소유하는 '총유물'에 해당하며, 이를 관리하거나 처분(예: 재산을 감소시키는 행위)하려면 정관이나 규약에 정한 바가 없으면 반드시 '사원총회의 결의'를 거쳐야 합니다. 이 판결에서 법원은 조합원들이 납부한 분담금을 총유물로 보았고, 분담금 환불을 약속하는 안심보장증서 발행은 총유물을 감소시키는 처분행위이므로 총회 결의가 필수적이었으나, 이를 거치지 않아 무효라고 판단했습니다. 둘째는 '민법 제137조'로, '법률행위의 일부분이 무효인 때에는 그 전부를 무효로 하나, 그 무효 부분이 없더라도 법률행위를 하였을 것이라고 인정될 때에는 나머지 부분은 무효가 되지 아니한다'는 '일부무효의 법리'입니다. 법원은 이 안심보장증서의 효력이 조합원 가입 계약의 핵심적인 부분이었으므로, 안심보장증서가 무효이면 전체 가입 계약도 무효가 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안심보장증서 없이는 조합원들이 가입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원고들의 의사를 존중한 것입니다.
지역주택조합 가입 시에는 반드시 '안심보장증서'와 같은 분담금 반환 보장 약정이 적법한 절차, 특히 '조합 총회 결의'를 거쳐 유효하게 체결된 것인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지역주택조합 사업은 일반적인 아파트 분양과 달리 사업 진행의 불확실성과 무산될 위험성이 매우 높으므로, 분담금 반환 보장 약정의 유효성 여부는 계약 체결 여부를 결정하는 데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계약 내용 중 특정 부분이 법률적 하자로 인해 무효가 될 경우, 해당 부분이 전체 계약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한다면 전체 계약까지 무효가 될 수 있으므로, 계약서의 모든 조항과 그 법적 효력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