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형사사건 · 노동
피고인 A는 근로자들에게 임금을 지급하지 않아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원심에서 벌금 300만 원을 선고받았습니다. 이에 피고인이 형량이 너무 무겁다는 이유로 항소하였고, 항소심 재판부는 피고인의 주장을 받아들여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벌금 200만 원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는 근로자들에게 임금을 지급해야 했으나 일부 임금이 체불되어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피고인이 F라는 사람에게 돈을 이체한 내역을 두고 피고인 측은 '이 사건 공사현장'의 임금을 모두 지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수사 단계에서 피고인은 해당 금액이 '창원시 V 공사현장' 임금을 지급한 것이며, '이 사건 공사현장'에 대해서는 3,100만 원의 임금이 아직 미지급되었다고 진술했습니다. 피해 근로자들 역시 피고인이 V 공사현장 임금을 지급했음에도 이 사건 공사현장 임금이 미지급되었다고 주장하며 진정을 제기하여, 지급된 돈이 어떤 현장의 임금인지에 대한 당사자 간의 주장 차이가 있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피고인이 근로자들에게 지급해야 할 임금을 체불한 사실이 있는지, 체불된 임금의 정확한 액수가 얼마인지, 그리고 피고인이 일부 피해자에게 지급한 돈이 어떤 공사현장의 임금으로 볼 수 있는지였습니다. 또한 원심에서 선고된 벌금 300만 원이 피고인에게 너무 무거운 형량인지 여부가 항소심의 쟁점이었습니다.
항소심 재판부는 피고인의 임금체불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피고인이 잘못을 뉘우치고 일부 피해자와 합의하여 피해액 상당 부분을 회복한 점, 동종 전과가 없는 점 등을 고려하여 원심의 벌금형이 무겁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피고인에게 벌금 200만 원을 선고했습니다. 또한 벌금을 납부하지 않을 경우 100,000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동안 피고인을 노역장에 유치하고, 벌금에 상당하는 금액을 미리 납부하도록 가납을 명령했습니다.
피고인은 근로자들의 임금을 체불한 사실이 인정되어 벌금형을 선고받았으나, 항소심에서 피고인의 양형부당 주장이 받아들여져 벌금 300만 원이 200만 원으로 감액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근로기준법상 임금 체불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먼저 근로기준법 제36조(금품 청산)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하거나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의 모든 금품을 지급해야 합니다.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 기일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피고인은 이 조항을 위반하여 근로자들에게 임금을 제때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근로기준법 제109조 제1항(벌칙)은 제36조를 위반하여 임금 등을 지급하지 않은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피고인 A는 이 조항에 따라 벌금형을 선고받았습니다. 또한 형법 제37조(경합범)는 여러 개의 죄를 저질렀을 때 그 형을 어떻게 정할지에 대한 규정으로, 피고인이 여러 근로자의 임금을 체불하여 여러 건의 근로기준법 위반죄가 경합범으로 처리되었습니다. 형법 제69조 제2항과 제70조 제1항은 벌금형을 선고받은 사람이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일정 금액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동안 노역장에 유치하는 규정입니다. 이 사건에서도 피고인이 벌금을 내지 않으면 10만 원을 1일로 계산하여 노역장에 유치된다는 명령이 포함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형사소송법 제334조 제1항(가납판결)은 재판이 확정되기 전이라도 벌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미리 납부하도록 명할 수 있는 규정이며, 형사소송법 제364조 제6항은 항소심 재판부가 항소를 이유 있다고 인정할 때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변론을 거쳐 다시 판결할 수 있음을 규정하는 법률 조항으로, 피고인의 양형부당 주장이 받아들여져 원심이 파기되고 새로운 벌금형이 선고되었습니다.
유사한 임금 체불 문제에 직면했을 때는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첫째, 사업주는 임금 지급 내역을 명확하게 기록하고 증빙 자료(계좌 이체 내역, 급여명세서, 영수증 등)를 철저히 보관해야 합니다. 어떤 공사 현장이나 어떤 근로자에 대한 지급인지 상세히 명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둘째, 임금이 체불된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임금 지급을 독촉하고, 해결되지 않을 경우 고용노동청에 임금체불 진정 또는 고소를 제기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셋째,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당사자 간의 합의는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법적 절차 진행 시에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넷째, 수사나 재판 과정에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객관적인 증거를 확보하고, 일관된 진술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술이 번복될 경우 신뢰도를 잃어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