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
원고 A씨가 피고 B씨의 투자 권유를 받고 피고 회사 C에 총 3억 5천만 원을 송금했습니다. 이 중 1억 5천만 원을 돌려받은 후, 나머지 2억 원에 대해 피고 B씨의 기망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또는 피고 회사 C에 대한 대여금 반환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B씨의 기망행위나 과실 방조를 인정하지 않아 피고 B씨와 피고 회사 C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주위적 청구)는 기각했습니다. 그러나 피고 회사 C에 송금된 2억 원 중 1억 4천만 원을 대여금으로 인정하여 피고 회사 C는 원고 A씨에게 1억 4천만 원과 이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원고 A는 피고 B으로부터 중국 G 플랫폼에 H면세점 화장품을 판매하는 사업에 투자하면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설명을 들었습니다. 피고 B은 자신이 Q 그룹 일가와 친척 관계이고 사업이 상당 부분 진행되었으며 합작법인 설립 완료 및 150만 달러 신용장 개설 등의 사실을 언급하며 투자를 권유했습니다. 이에 원고 A는 피고 회사 C에 총 3억 5천만 원을 송금했습니다.
이후 1억 5천만 원을 돌려받았으나, 사업이 기대와 달리 제대로 진행되지 않자 원고 A는 나머지 2억 원을 돌려받기 위해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원고 A는 피고 B의 기망행위와 피고 회사 C의 불법행위 책임을 주장하는 주위적 청구와 함께, 송금액이 대여금임을 주장하며 반환을 요구하는 예비적 청구를 제기했습니다. 특히 피고 B이 관련 형사사건에서 항소심과 대법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기 때문에 민사 소송에서의 기망 여부와 손해배상 책임 판단이 주요 쟁점이 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B이 원고 A를 기망했거나 다른 사람의 불법행위를 과실로 도왔다고 인정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판단하여 원고 A의 손해배상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이는 피고 B이 제시한 사업 관련 서류들이 허위로 단정하기 어렵고 원고 A 스스로 사업의 실현 가능성에 초점을 맞춰 투자를 결정한 점, 그리고 신용장 미개설 고지가 투자의 본질적 조건이 아니었다는 점 등을 고려한 것입니다.
하지만 법원은 원고 A가 피고 회사 C에 송금한 돈 중 2억 원에 대해 투자금이 아닌 대여금의 성격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는 원고 A가 '대여금 반환 청구' 이메일을 보내고 피고 회사 C의 대표인 피고 B도 이를 '대여금'으로 인정하며 변제 요청에 동의한 점, 그리고 피고 B도 형사 사건에서 이 금액을 대여금으로 진술한 점 등을 근거로 합니다. 원고 A가 이미 피고 B의 형사 공탁금 6천만 원을 수령하여 원금에 충당했으므로, 피고 회사 C는 나머지 대여금 1억 4천만 원과 그에 대한 약정 이율 및 변제기 이후의 법정 지연손해금을 원고 A에게 반환해야 한다고 최종 판단했습니다.
이 판결에서 주로 다루어진 법률과 법리(법적 원칙)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사업 투자 또는 자금 거래 상황에 놓인 경우, 다음 사항들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