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재개발 · 행정
이 사건은 광주광역시장이 특정 주택건설사업계획을 승인하자, 이에 반대하는 주민들이 승인 처분을 취소해달라며 소송을 제기한 사건입니다. 원고들은 하급심에서 패소한 후 대법원에 상고했지만, 대법원은 원고들의 상고 이유가 상고심 절차에 관한 특례법에서 정한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판단하여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이 사건은 광주광역시장이 특정 지역에 대한 주택건설사업계획을 승인하자, 이에 반대하는 주민들이 해당 승인 처분을 취소해달라며 소송을 제기한 상황입니다. 원고들은 1심과 2심에서 패소한 후 대법원에 상고했지만, 대법원은 상고 이유가 법에서 정한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판단했습니다.
광주광역시장이 승인한 주택건설사업계획 처분이 법적으로 적법한지 여부, 그리고 원고들이 제기한 상고 이유가 대법원에서 다룰 만한 법적 요건을 충족하는지에 대한 다툼입니다.
대법원은 원고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원고들이 제기한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처분 취소 소송은 최종적으로 기각되었으며, 원래의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은 유지되었습니다. 소송 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상고심 절차에 관한 특례법 제4조 제1항은 대법원이 상고를 심리할 수 있는 사유들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주로 원심판결이 헌법, 법률, 명령 또는 규칙을 위반하거나, 중대한 법령 위반이 있는 경우 등에 한하여 심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원고들의 상고 이유가 이러한 특례법에서 정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본안 심리 없이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행정기관의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과 같은 행정처분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각 심급(1심, 2심, 대법원)마다 요구되는 법적 요건과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대법원 상고는 단순히 불복한다는 의사 표현을 넘어, 법령 위반 등 특정한 법적 사유를 명확히 제시해야만 심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련 법규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함께 구체적인 법리적 주장을 준비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