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성범죄 · 기타 형사사건
피고인 A는 모바일 채팅 어플을 통해 알게 된 피해자 B의 주소로 찾아가 흉기를 사용하여 피해자를 위협하고 폭행한 후 강간하여 약 2주간의 치료가 필요한 상해를 입혔습니다. 피고인은 합의된 성관계라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피해자의 진술과 피고인의 스마트폰 검색 기록, 범행 전후 정황 등을 종합하여 강간 및 상해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재판부는 피고인에게 징역 8년과 압수된 칼의 몰수, 3년간의 보호관찰 및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를 명령했습니다.
피고인 A는 2017년 7월 15일 새벽 모바일 채팅 어플 'C'을 통해 피해자 B의 주소를 알게 된 후, 칼을 소지하고 피해자의 집에 찾아갔습니다. 피해자가 귀가하자 피고인은 피해자를 집 안으로 끌고 들어가 폭행하고 칼로 위협하며 강간했습니다. 이로 인해 피해자는 약 2주간의 치료가 필요한 상해를 입었습니다. 피고인은 피해자와 합의 하에 성관계를 맺었다고 주장했지만 피해자는 폭행과 협박에 의한 강간이라고 진술했습니다.
피고인이 위험한 물건인 칼로 피해자를 협박하고 폭행하여 반항을 억압한 후 강간하고 상해를 입혔는지 여부와 피고인의 주장처럼 상호 합의 하에 성관계를 맺은 것인지 여부, 그리고 피고인에게 성폭력범죄 재범 위험성이 있는지 여부
피고인에게 징역 8년을 선고하고 압수된 연두색 손잡이 칼 1개를 몰수한다. 징역형의 집행 종료일부터 3년간 보호관찰을 받을 것을 명하고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를 명한다.
법원은 피해자의 진술에 신빙성이 있고, 피고인의 사전에 계획된 범행 정황과 스마트폰 검색 기록 등 객관적 증거들을 종합하여 피고인이 흉기를 사용하여 피해자를 폭행하고 강간한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재범 위험성 또한 인정되어 보호관찰과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 명령이 함께 부과되었습니다. 다만, 이전에 처벌받은 전력이 없고, 공개명령 및 고지명령으로 피고인이 입을 불이익과 예상되는 부작용에 비해 성폭력 범죄 예방 효과가 적을 것으로 보여 공개 및 고지명령은 면제되었습니다.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8조 제1항(특수강간 등) 및 제4조 제1항(강간 등 상해): 피고인이 위험한 물건인 칼을 사용하여 피해자를 협박하고 강간하여 상해를 입혔으므로, 이 법률에 따라 가중 처벌됩니다. 특수강간은 흉기나 그 밖의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거나 2인 이상이 합동하여 강간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강간 등 상해는 강간 행위로 인해 피해자에게 상해를 입힌 경우에 적용됩니다. 본 사안에서는 흉기 휴대로 인한 강간죄와 그로 인한 상해죄가 함께 적용되었습니다. 형법 제297조(강간):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을 강간한 자를 처벌하는 기본적인 강간죄 조항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흉기라는 위험한 물건을 사용했기에 특례법이 적용되었습니다. 형법 제48조 제1항(몰수): 범죄에 사용되거나 범죄로 인해 생긴 물건을 국가가 취득하는 제도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범행에 사용된 연두색 손잡이 칼이 몰수되었습니다. 특정 범죄자에 대한 보호관찰 및 전자장치 부착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의2 제1항 등: 성폭력범죄 재범 위험성이 인정되는 경우 보호관찰명령과 함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 등 준수사항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피고인의 K-SORAS 및 PCL-R 평가 결과 '중간' 수준의 재범 위험성이 인정되어 보호관찰 및 치료프로그램 이수 명령이 내려졌습니다.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47조, 제49조 및 아동·청소년의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50조(신상정보 공개 및 고지 명령): 성범죄자의 재범 방지와 사회 보호를 위해 신상정보를 공개하거나 고지할 수 있으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면제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의 전과 없음, 신상정보 등록 및 보호관찰만으로도 재범 방지 효과가 있다고 판단된 점 등을 고려하여 공개 및 고지 명령은 면제되었습니다.
온라인 채팅 앱을 통한 만남은 상대방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이므로, 만남을 가질 때는 항상 안전에 유의해야 합니다. 특히 주거지 등 사적인 공간에서 만나는 것은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만약 범죄 피해를 당했다면, 즉시 경찰에 신고하고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자 메시지, 채팅 기록, 상해 진단서 등 가능한 모든 증거를 보존해야 합니다. 성범죄 피해를 입었을 경우, 신체적 피해뿐만 아니라 정신적 피해도 크므로, 전문기관의 상담 및 치료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범행에 흉기 등 위험한 물건이 사용된 경우, 일반 강간죄보다 더욱 무거운 처벌을 받게 됩니다. 피해자의 일관된 진술은 중요한 증거가 되며, 범인의 계획성이나 범행 전후의 행동을 보여주는 증거(예: 인터넷 검색 기록, CCTV 등)도 유죄 입증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