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
원고 주식회사 A는 D시의 종합 장사시설인 F 장례식장 내 식당과 예복실(이 사건 부대시설)에 대한 사용·수익 허가를 받아 운영해왔습니다. F 장례식장은 E 건설 예정지역 주민들의 생계대책의 일환으로 원고에게 운영이 위탁되었고 2010년부터 매년 갱신되어 왔습니다. 피고 B공단은 2021년 원고의 사용·수익 허가 연장 신청에 대해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상 수의계약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반려했습니다. 원고는 이 처분이 위법하며 신뢰보호의 원칙을 위반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장사 등에 관한 법률」(장사법)이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공유재산법)보다 우선 적용되는 특별법이며, 장사시설 운영을 지역주민에게 우선적으로 맡길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수의계약에 포함된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피고의 공적 견해 표명에 대한 원고의 신뢰가 침해되었다고 판단하여 피고의 사용·수익 허가 반려 처분을 취소했습니다.
D시는 E 건설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장사시설 설치가 최우선 과제로 결정되었고, 건설 예정 지역 원주민들의 농지 등 생활 기반 대부분이 수용되었습니다. 이에 건설청과 D시는 원주민들의 소득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생계대책으로 C조합 산하의 원고 주식회사 A에게 F 장례식장 내 식당과 예복실(이 사건 부대시설) 운영을 위탁하거나 사용·수익 허가를 2010년부터 2021년까지 매년 갱신해주었습니다. 그런데 2021년 D시 감사위원회가 F 내 매점 운영자의 비위행위를 감사하던 중, 이 사건 부대시설에 대한 수의계약 방식의 사용·수익 허가가 부적절하다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에 피고 B공단은 기존의 입장을 번복하여, 원고가 2021년 11월 23일 신청한 사용·수익 허가 연장에 대해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상 수의계약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2021년 12월 6일 반려 처분을 내렸습니다. 원고는 이 반려 처분으로 인해 운영에 막대한 지장을 받게 되자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피고가 원고에 대해 F 장례식장 부대시설의 사용·수익 허가 갱신 신청을 반려한 처분의 위법성 여부가 주된 쟁점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이 사건 부대시설의 사용·수익 허가에 관하여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을 적용하여 수의계약 대상이 아니라고 본 피고의 법령 해석이 정당한지, 그리고 피고의 처분이 행정상 신뢰보호의 원칙을 위반하거나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것인지 여부가 핵심 쟁점입니다.
피고가 2021년 12월 6일 원고에 대하여 한 사용·수익허가 반려처분은 취소되어야 합니다. 소송비용은 피고가 부담합니다.
법원은 피고의 사용·수익허가 반려처분이 「장사 등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에 따른 법령 해석을 잘못한 것이고, 행정상 신뢰보호의 원칙을 위반한 위법한 처분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원고의 청구를 받아들여 피고의 사용·수익허가 반려처분을 취소하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이 사건은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이하 '공유재산법')과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이하 '장사법')이라는 두 법률의 적용 관계 및 행정상 신뢰보호의 원칙이 주요 쟁점이 되었습니다.
1. 「장사 등에 관한 법률」(장사법)의 특별법 지위 및 수의계약 근거
2.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공유재산법)과의 관계
3. 행정상 신뢰보호의 원칙
공공 사업으로 인해 생활 기반을 잃은 지역 주민에 대한 보상 또는 생계 대책으로서 특정 사업의 운영권을 부여하는 경우, 해당 운영권에 대한 사용·수익 허가나 계약 갱신은 일반적인 공유재산 관리 원칙(공개 경쟁 입찰 등)과 다른 특별한 법적 근거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일반법인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보다 「장사 등에 관한 법률」과 같이 특별한 목적을 가진 법률이 우선적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행정기관이 장기간에 걸쳐 특정 개인이나 단체에게 사업 운영을 허가하거나 계약을 갱신해 주면서 장기적인 운영에 대한 신뢰를 부여했다면, 특별한 공익상의 필요가 없는 한 기존의 관행이나 약속에 반하여 갑자기 불이익한 처분을 하는 것은 '신뢰보호의 원칙'에 위배될 수 있습니다. 사업을 운영하는 당사자는 행정기관의 공적인 약속이나 견해 표명에 대한 기록을 잘 보관하고, 그에 따른 인적·물적 투자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행정기관의 처분에 불복할 때는 처분 사유가 법령의 올바른 해석에 기초한 것인지, 재량권 행사에 문제가 없는지 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이 사건처럼 행정기관의 처분 사유가 법령 해석의 오류에서 비롯된 경우 처분이 위법하다고 판단될 수 있습니다.
.jpg&w=256&q=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