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 공무방해/뇌물 · 인사
전 J군수 A를 비롯한 여러 공무원과 사업가들이 직권남용, 뇌물수수, 횡령, 배임, 농지법 및 국토계획법 위반, 입찰방해, 공문서변조, 사기, 기부금품법 위반 등의 다양한 혐의로 기소된 사건입니다. 법원은 A 전 군수에 대해 2014년 I 축제 용역과 두 건의 옥외광고 관련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는 유죄로 인정했으나, 2015년 I 축제 용역과 O 행사, 특정 옥외광고 관련 직권남용 혐의 및 모든 뇌물수수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B 전 도의원 겸 사업가는 업무상 횡령 및 배임, 농지법 및 국토계획법 위반 혐의가 유죄로 인정되었고, C 문화관광과장은 입찰방해, 직권남용, 기부금품법 위반 혐의가 유죄로 인정되었습니다. D 관광진흥계장은 원심의 유죄가 유지되었으며, G 사업가는 입찰방해와 사기 혐의가 유죄로 인정되었습니다. H 사업가는 공무원 직무에 속한 사항의 알선수재 혐의가 유죄로 인정되어 추징금이 부과되었습니다. 대부분의 피고인에게는 실형 또는 집행유예가 선고되었습니다.
2014년 I 축제 용역 관련 직권남용 및 입찰방해 사건: 사업가 G은 입찰 자격이 부족함에도 H의 청탁을 통해 A 전 군수와 C 과장에게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A 전 군수는 C 과장에게, C 과장은 D 등 하급 공무원에게 G이 축제 용역을 수주하도록 지시했습니다. 하급 공무원들은 G에게 유리하도록 입찰 자격 요건, 평가 기준을 변경하고 평가위원 명단을 조작하여 G의 회사가 3억 6천만 원 상당의 용역을 낙찰받게 했습니다.
옥외광고 관련 직권남용 사건: A 전 군수는 자신의 측근인 BT과 BU이 운영하는 업체에 각각 8억 8천만 원과 5천만 원 상당의 옥외광고 사업을 수의계약 형태로 진행하도록 D 과장에게 지시했습니다. D 과장은 적절한 사업 계획 수립, 입찰 공고, 계약 심사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피고인의 지시에 따라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B의 업무상 횡령 및 배임, 농지법 및 국토계획법 위반 사건: B는 자신이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AQ 주식회사의 자금으로 개인 직원 급여를 지급하는 등 횡령했습니다. 또한, 관할 관청의 허가 없이 농지인 BC 토지와 BD 농지에 약 2m 높이로 흙을 쌓고 석축을 설치하여 토지 형질을 변경한 혐의를 받았습니다.
C의 기부금품법 위반 사건: C 과장은 A 전 군수의 지시를 받아 J군 BO 행사 중 불꽃놀이 예산이 부족하자 기업가 BQ에게 전화와 문자 메시지로 1천1백만 원 상당의 기부금품을 모집했습니다.
G의 사기 사건: G은 피해자 CC에게 5천만 원을 빌리면서 이미 많은 채무와 근저당권이 설정된 아파트를 담보로 제공하고 압류를 풀어 소유권을 이전해주겠다고 거짓말했습니다. 또한, 자신의 소유가 아닌 음향장비와 이미 타인에게 담보 제공된 발전차를 담보로 제공하겠다고 속여 피해자로부터 2천만 원을 송금받고 1천7백9십만 원 상당의 카드 대금을 사용하게 한 혐의를 받았습니다.
H의 알선수재 사건: H은 A 전 군수와의 친분 관계를 이용하여 G이 2014년 I 축제 용역(대가 5천만 원), 2015년 O 용역(대가 5백5십만 원)을 수주하도록 알선하고 G로부터 총 5천5백5십만 원을 수수했습니다. 또한, 지인 BJ이 J군으로부터 관정 공사를 수주하도록 알선하고 3백만 원을 수수했습니다.
지방자치단체장의 공무원 직권남용 범위 및 판단 기준, 특히 하급 공무원에게 '의무 없는 일'을 하게 한 때의 해석과 관련 법리 적용이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뇌물수수 혐의에 있어서 직무관련성과 부정한 청탁의 묵시적 합의 여부, 그리고 재산상 이익의 증명 여부가 중요하게 다루어졌습니다. 농지법상 '농지 전용'과 국토계획법상 '토지 형질변경'의 구별 및 각 법규 위반 여부 판단 기준도 쟁점이 되었습니다. 입찰방해 및 공문서변조 등 공정한 행정 절차를 해치는 행위에 대한 공무원과 사업가의 공동 정범 여부도 다루어졌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원심 판결의 일부를 파기하고 피고인들의 죄책을 재평가하여 새로운 형을 선고했습니다. 특히 전 군수 A의 뇌물수수 혐의에 대해서는 검찰이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합리적 의심을 넘어 증명되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무죄를 유지했습니다. 반면, 공무원이 상급자의 부당한 지시라도 그로 인해 법령상 의무 없는 일을 하게 된 경우에는 직권남용죄가 성립하며, 지방자치단체 업무의 공정성을 훼손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불법적인 토지 형질변경 행위에 대해서는 국토계획법 위반으로 유죄를 인정하면서도 농지법상의 '농지 전용' 요건은 엄격하게 해석하여 일부 무죄 판단을 내렸습니다.
공무원은 상급자의 지시라도 위법·부당한 지시는 거부할 의무가 있으며, 부당한 직무 집행 지시에 따를 경우 법적 책임을 면하기 어렵습니다. 지방자치단체장은 예산 편성 및 집행에 있어 법령과 규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하며, 특정 개인이나 업체에 특혜를 주는 행위는 직권남용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농지나 토지의 형질을 변경할 경우, 그 규모나 목적에 관계없이 반드시 관할 관청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특히 성토 및 석축 공사 등은 토지의 근본적인 기능을 변경하는 행위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공개 입찰이 원칙인 관급 공사에서 입찰 자격, 평가 기준, 평가위원 선정 등에 부당하게 개입하는 행위는 입찰방해죄로 엄중하게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 간의 금전 거래 시 담보 제공에 대한 정확한 정보(소유권, 저당권 등)를 확인해야 하며, 변제 능력이나 의사에 대한 허위 고지는 사기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공무원과 유착하여 사업상 이득을 취하려 하거나 알선을 통해 금품을 수수하는 행위는 특정범죄가중처벌법에 따라 가중 처벌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