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수출계약은 낙성, 불요식, 쌍무, 유상계약으로, 체결 전 계약조건 등에 대해 충분히 협의를 하여 추후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계약조건은 ① 품질조건, ② 수량조건, ③ 가격조건, ④ 포장조건, ⑤ 선적조건, ⑥ 결제조건, ⑦ 보험조건, ⑧ 클레임 및 중재조항 등이 있으며, 이러한 매매계약조건을 정형화시켜 놓아 다툼을 최소화한 국제규칙이 ICC(국제상업회의소)가 제정한 INCOTERMS입니다.
낙성계약
불요식계약
쌍무계약
유상계약
계약 시 조건을 확실하게 정하지 않을 경우 추후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으므로, 계약물품의 품질, 수량, 가격 및 포장조건과 계약의 이행조건인 선적, 결제, 보험, 검사 및 클레임에 대한 조건을 확실하게 정한 후 계약을 해야 합니다(한국무역협회-무역실무매뉴얼-무역계약의 기본사항).
품질조건
품질결정방법
품질결정시기
수량조건
총중량조건(Gross weight term): 상품을 포장한 상태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조건을 말합니다.
순중량조건(net weight term): 총중량에서 포장무게를 제외한 순수 상품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조건을 말합니다.
과부족용인조항: 일정 수량의 부족한도를 정하고 그 범위 내라면 계약을 이행했다고 여기는 조항을 말하며 용인정도는 합의해 정하면 됩니다.
가격조건
가격기준통화: 어느 나라의 통화를 기준으로 대금을 결제할 것인가에 대한 조건입니다.
각종 비용 및 위험의 부담여부: 누가 선적, 운송 등의 비용 및 위험부담을 어느 정도로 부담할 것인가의 문제로 그 정도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므로 충분히 고려해야 하는 조건입니다.
포장조건
수출물품을 안전하게 운송하기 위한 포장방법, 재질 등에 대한 조건입니다.
화인(貨印): 화물의 선적, 운송 시 다른 화물과의 식별을 위해 화물에 하는 표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목적항, 갯수, 중량, 용적, 생산국 등을 표시하나, 협의에 의해 기재사항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선적조건
선적시기: 선적에 필요한 일정기간 또는 기일을 확정하는 등 선적 시기에 대한 조건입니다. 시기를 어길 경우 계약 불이행에 해당하므로 충분히 협의를 해야 합니다.
선적방법
결제조건
결제시기: 물품의 인도 전에 대금을 지급할 것인지, 인도와 동시에 지급할 것인지, 인도 후 일정 기간이 경과된 후에 지급할 것인지 등에 대한 조건입니다.
결제방법
보험조건
클레임 및 중재조항
거래당사자는 계약 불이행에 따른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클레임(Claim)조항, 중재조항 등을 규정해야 합니다.
한국무역협회는 무역계약서 양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무역계약서 양식은 < 한국무역협회-무역실무매뉴얼-무역계약 체결 시 사용되는 양식 >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형거래조건이란 물품이 매도인으로부터 매수인에 이르기까지 운송과 수출입통관을 비롯해 모든 비용과 위험부담의 당사자를 구분해 주는 정형화된 국제매매계약조건을 말합니다(한국무역협회-무역실무매뉴얼-무역계약의 기본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