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동양생명이 설계사들에게 무려 '2200%'라는 엄청난 수당을 제공하면서 생명보험사 간의 시책 경쟁이 치열해졌습니다. 삼성생명도 2000%, 한화생명은 1700%의 수당을 내세우며 경쟁에 가세했죠. 이 수당은 일반적인 수당의 10배가 넘는 수준으로, 한 건당 최대 22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눈에 보기에 "대단한 보너스"로 보이지만, 이런 과도한 인센티브는 설계사들이 단기 실적에만 집중하게 만들어 중요한 계약 내용을 제대로 알리지 않거나, 고객에게 불리한 상품을 권유하는 '불완전판매'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는 충분한 고민 없이 덜컥 가입할 위험성이 커지는 셈입니다.
금융당국은 "과도한 수당 경쟁은 모집 질서를 흐리고 소비자 피해를 유발한다"며 경고했지만, 현재 보험사들이 조직 개편 등으로 감독이 다소 느슨해진 틈을 타 시책 경쟁에 더욱 불을 지피는 상황입니다.
금융감독원 기준에 따르면 보통 수당 시책은 평균 200% 내외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비정상적인 마케팅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단기 만기 채권에 몰빵하는 투자처럼 장기적으로 보면 결국 소비자와 시장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소비자는 수당에만 눈이 멀지 말고, 가입하려는 상품 내용을 꼼꼼히 비교하고 이해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설계사의 대박 수당 여부와 관계없이 진정 필요한 보장인지 확인해 불필요한 피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험사 또한 단기 실적에 집착하기보다 고객 신뢰를 우선하는 장기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 금융감독원은 조직 안정과 감시 강화를 통해 과열 경쟁이 재발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할 것입니다.
단기 실적에만 몰두하는 한탕주의 수당 경쟁 대신 모두가 혜택을 얻는 균형 있는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보험은 멀리 보고 신중히 접근하면, 꼭 필요할 때 든든한 힘이 되어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