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전주시가 11월 중 전주천과 삼천변에 꽃밭을 조성하라는 공문을 각 동 주민센터에 보냈어요. 겨울이 다가오는 시기에 당장 꽃을 심으라고 하니 뜬금없다는 반응이 솔직한 심정이죠. 화초류가 잘 자라기 힘든 시기에 예산도 없이 꽃밭을 만들라니, 공무원 내부에서도 "이게 무슨 1980년대 행정 방식이냐"며 불만이 하늘을 찔렀답니다.
처음에는 “시장님 지시 사항”이라는 제목까지 붙어 내려온 공문 덕분에 전주시 공무원과 시민 사이에서 강제성이 있는 지시로 여겨졌는데요. 이틀 후 전주시는 “시장 직접 지시는 아니고 시민을 위한 자율 참여 사업”이라고 슬그머니 태세를 바꿨답니다. 보여주기식 정책에 대한 비판을 의식한 것 같죠?
무슨 꽃밭을 만들냐고 화가 나는 건 단지 시기 때문만은 아니에요. 전주시가 심으려던 꽃들은 금계국, 코스모스 같은 외래 식물들이었는데요, 문제는 이게 전주천, 삼천 같은 자연생태계에 얼마나 치명적인지 모른다는 거예요. 25년간 콘크리트 제방을 허물고 토종 식생을 복원해 친환경 하천으로 만들어 온 곳을 다시 흔들 위험이 있답니다.
환경단체는 외래종 꽃밭 조성 시도가 “생태계 오염”이며 “토종 물억새, 갈대, 버드나무 등 자연 친화적 토종 식생 복원을 위해서라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외치고 있어요. 이게 단순히 ‘꽃 예쁘게 심자’고 나섰다가 지역 생태계를 망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라는 사실, 주목해야 하죠.
더욱 큰 문제는 전주시가 준비 중인 ‘전주천·삼천 통합 문화공간 조성사업’이에요. 총 7천억이 넘는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을 계획인데, 이 사업조차 시민사회에서는 “전시 행정” “토목 중심의 낡은 계획”이라며 강력 비판 중이에요. 사막 위 신기루 같은 조감도만 내놓고 실질적 생태 복원은 뒷전이라는 거죠.
이번 사례는 단순한 꽃밭 조성 지시에서 끝나지 않고, 행정과 생태계, 더 나아가 법적 책임까지 복잡하게 얽힌 문제예요. 우리 지역 환경과 법률이 어떻게 어우러져야 하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봐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