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생활 곳곳에 파고든 쿠팡의 창업주 김범석 의장이 또 국회 국정감사에 불참 의사를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번 불참 통보는 그냥 넘어가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김 의장은 해외에서 이미 확정된 ‘글로벌 비즈니스 일정’을 이유로 들었는데요, 이 증인은 이미 지난 14일 국감에도 해외 체류를 이유로 모습을 감췄습니다. 이번 28일 종합 감사에도 같은 사유로 불참하겠다고 하니, 이쯤 되면 국회 쪽에서 기분이 조금 상할 만한 상황입니다.
정무위원회는 바로 법적 조치를 검토 중입니다. 고발까지 고려한다고 하니, 무섭면서도 어찌 보면 당연한 결정입니다. 증인으로 채택된 인물이 계속 시간 약속을 어기고 불출석 통보를 하면 감사를 진행하는 의미가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김 의장이 빠진 자리에서 쿠팡이 대만 시장 진출 상황과 스포츠 패스 요금 정책, 그리고 온라인 플랫폼 내의 불공정 거래 문제들에 대한 강도 높은 질문들이 기다리고 있는데, 이런 증인의 불출석은 국회 입장에서는 책임 회피로 비춰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올해 국감은 쿠팡에게 수모의 장이 되었습니다. 공정 거래 문제와 노동 이슈 등 여러 논란이 연이어 발생하며, 경영진이 증인으로 줄줄이 소환되는 '진풍경'이 벌어졌습니다. 유통기업 중 최다 인원이 국감장에 나온 쿠팡 측이 공식 스케줄이 겹쳤다는 말밖에 하지 못하는 상황은 다소 신기하다고 할 만합니다.
과연 ‘해외 일정’은 정말 불가피한 사유일까요, 아니면 ‘법적 책임 회피용 변명’일까요? 앞으로 이어질 국회의 대응이 궁금해지는 대목입니다. 쿠팡의 글로벌 사업 확장과 국내 불공정 거래 이슈 사이에서 어떤 균형점을 찾을지 중요한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