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희 의원이 신문법 개정안을 내면서 아웃링크 방식 강제를 제안했죠. 쉽게 말해 네이버나 다음 같은 포털에서 뉴스를 클릭하면 바로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하게 하자는 겁니다. 그 뒷이야기는 댓글 시스템에 대한 정치권의 골치 아픈 고민이 한몫했어요. 댓글 하나 달려면 언론사 사이트에 로그인해야 하니 댓글 수가 확 줄어들 거란 기대에서요.
여당이든 야당이든 포털 댓글이 마치 악의 온상인 양 경계해 온 건 어제오늘 일이 아니에요. 문재인 정부 때도, 지금 윤석열 정부도 야심 차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포털 힘 빼고 댓글 입 틀어막자”는 의도를 숨기지 않죠.
아웃링크 방식은 뉴스 클릭할 때마다 새로운 창을 띄워야 하고 로딩도 지체돼요. 작은 모바일 화면에서 수시로 창이 바뀌면 애써 뉴스를 읽기도 번거롭습니다. 화면 여기저기 붙은 광고도 정신 없고요. 이런 건 독자의 접근성과 편의를 무시하는 처사라고 할 수 있죠.
아웃링크 방식이 트래픽 쟁탈전으로 변질될 가능성도 커요. 2009년 뉴스캐스트 시절 선풍적 인기를 끈 ‘충격’, ‘경악’ 같은 낚시성 기사들이 판치게 된 것도 아웃링크가 본격화된 결과 중 하나에요. 즉, 클릭 수 늘리기 위해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기사만 남는 세상이 되는 거죠.
기자들의 사명감이 무색해진 요즘, 밀레니얼과 Z세대가 주축인 언론계 현실은 ‘열정 페이’도 쉽지 않고요. AI가 기사 내용을 통합해 답변하는 시대에도 기자와 언론 플랫폼이 어떻게 살아남을지, 진짜 어려운 숙제가 우리 앞에 놓여 있습니다.
솔직히 댓글 막겠다고 아웃링크 강제한다고 악성 댓글이 없어지나요? 유튜브나 팟캐스트 등 다른 채널은? 미디어 환경 급변하는 상황에서 손쉬운 해결책에만 매달리는 건 아닐까요?
결국은 글 하나 보려면 독자도 편해야 하고, 좋은 기사 쓸 기자도 살아야 한다는 기본 원칙이 무시돼선 안 됩니다. 댓글 입막음에만 집중하는 사이 우리의 뉴스 소비환경은 점점 더 불편하고 조잡해질 위험이 크거든요.
이제는 댓글을 쥐어짜서 ‘입 틀어막기’보다 언론의 신뢰와 이용자 경험 모두 살리는 근본적 해법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