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압류/처분/집행
피고인은 생활광고지에 화물차 지입 차주 구인 광고를 내어 피해자에게 대기업 고정 운송 노선과 높은 수익을 약속하며 총 9,210만 원을 편취한 혐의를 받았습니다. 또한 피고인은 피해자로부터 화물차를 2,200만 원에 매수하면서 1,000만 원만 지급하고 나머지 1,200만 원은 지급하지 않아 편취한 혐의도 받았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두 가지 혐의 모두 피고인에게 기망행위나 편취의 범의가 있었다는 점이 합리적 의심 없이 증명되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피고인은 2021년 2월경 생활광고지에 "지입차주 구함, 대기업 고정물량 여수제주 월 10회 운행, 4.5톤 냉장윙바디 16년식 월매출 2,300만 원, 순수 1,000만 원, 차량가격 8,000만 원 부대비용 포함가격 할부가능"이라는 구인 광고를 게시했습니다. 이 광고를 보고 연락한 피해자 B에게 피고인은 2021년 2월 말경 "1년 전쯤 H하고 5년 계약을 했다, 그 동안에는 고정물량이 있으니 걱정하지 마라, 재계약, 재연장도 될 수 있으니 걱정하지 마라"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2021년 3월경에는 피해자에게 "H에서 진례칠곡, 칠곡부산, 부산진례 고정노선을 받아 최소 6년간 보장할 수 있고 매월 26일을 운행할 수 있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피해자 B는 이 말을 믿고 피고인과 화물차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2021년 3월 31일부터 4월 5일까지 화물차 대금, 취등록 비용 및 고정노선 확보 권리금 명목으로 총 9,210만 원을 피고인이 지정한 계좌로 송금했습니다. 그러나 검찰은 피고인이 실제로는 H의 협력업체 상무로부터 단순히 화물운송 기사를 소개해달라는 말을 들었을 뿐, 피해자에게 약속한 진례칠곡부산을 오가는 고정노선을 6년간 보장해줄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고 판단하여 사기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피고인은 2020년 3월 11일경 피해자 O의 남편 P에게 6.5톤 트럭을 6,500만 원에 매도했습니다. 이후 2020년 5월 8일경 P와 매매 대금 미지급금 2,450만 원에 대해 월 100만 원씩 분할 상환하는 금전소비대차 공정증서를 작성했으며, 이때 피해자 O를 연대보증인으로 기재했으나 O는 이 사실을 알지 못했습니다. 이후 피해자 O는 남편 P가 암 투병으로 건강이 좋지 않자 2021년 11월 중순경 피고인에게 본 화물차를 2,200만 원에 매도하기로 했습니다. 피고인은 2021년 11월 25일경 법무법인 사무실에서 O에게 "매매 대금 중 1,000만 원은 2021년 11월 26일에 지급하고, 나머지 1,200만 원은 2021년 12월경부터 2022년 5월경까지 200만 원씩 6회에 걸쳐 지급하겠다"고 약속하며 화물차 처분권을 양수받았습니다. 그러나 피고인은 1,000만 원만 지급하고 나머지 1,200만 원은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검찰은 피고인이 애초부터 잔금을 지급하지 않고 남편 P와의 공정증서상 채권을 빌미 삼아 지급을 거부할 생각이었다고 판단하여 사기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피고인이 피해자 B에게 고정노선을 제공하겠다는 약속이 기망행위에 해당하며, 처음부터 고정노선을 제공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는지 여부입니다. 피고인이 피해자 O에게 화물차 매매 대금 중 1,200만 원을 지급하지 않기로 처음부터 마음먹었는지, 즉 편취의 범의가 있었는지 여부입니다. 피고인에게 무죄가 선고된 상황에서 피해자 B의 배상명령신청이 인용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피고인에 대한 사기 혐의에 대해 모두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또한 피해자 B의 배상명령신청은 이유 없으므로 각하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이 피해자 B에게 대기업 고정 운송 노선을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을 미리 알았거나 기망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피고인이 실제 화물운송주선업체 관계자로부터 노선 확보 가능성을 들었으며 피해자와 함께 관계자를 만나는 등 약속 이행을 위한 노력을 보였던 점, 그리고 피고인이 피해자에게 화물차를 다시 인수하겠다는 제안까지 했던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입니다. 또한 피해자 O에 대한 화물차 매매 대금 미지급 혐의에 대해서도, 피고인이 애초부터 잔금을 지급하지 않을 의도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피해자가 이전 남편 P와 피고인 사이에 작성된 공정증서의 존재를 몰랐고, 피고인 역시 이를 고지할 신의칙상 의무가 있었다고 보기 어려우며, 피고인이 수사 과정 중 뒤늦게나마 피해자에게 일부 금액을 지급한 점 등을 근거로 삼았습니다. 결론적으로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의 범죄 사실이 합리적 의심 없이 증명되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보아 무죄를 선고하고, 이에 따라 배상명령신청도 각하되었습니다.
형법 제347조 (사기): 사기죄는 사람을 기망하여 재물을 편취하거나 재산상 이익을 취득할 때 성립합니다. 이 판결에서는 피고인이 피해자들을 '기망'했는지, 즉 거짓말을 했거나 진실을 은폐하여 착오에 빠뜨렸는지, 그리고 재물이나 재산상 이익을 취득할 당시에 피해자를 속이려는 '편취의 범의'(사기 의도)가 있었는지가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단지 약속 불이행만으로는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으며, 계약 당시 피고인에게 '편취의 범의'가 있었음이 합리적 의심 없이 증명되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검찰이 제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의 기망 행위나 편취의 범의가 명확하게 증명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형사소송법 제325조 (무죄판결): 이 조항은 피고인의 범죄 사실에 대한 증명이 없거나, 범죄 사실이 증명되었더라도 법률상 범죄가 되지 않거나, 형이 면제될 때 무죄를 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판결에서는 피고인의 행위가 사기죄의 구성요건 중 '편취의 범의'가 증명되지 않아 '범죄의 증명이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보아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이는 형사 재판에서 검사의 입증 책임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제32조 제1항 (배상명령): 배상명령은 특정 범죄로 인한 피해에 대해 법원이 가해자에게 손해배상을 명하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이 제도는 유죄 판결을 전제로 하거나, 유죄가 아니더라도 피해 사실이 명백할 때 제한적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이 무죄 판결을 받았으므로, 피해자의 배상명령신청은 배상 책임이 인정되지 않아 각하되었습니다. 이는 형사사건에서 무죄가 선고되면 민사적인 손해배상 책임까지 당연히 소멸하는 것은 아니지만, 배상명령신청 제도의 특성상 형사 재판에서 범죄 사실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형법 제58조 제2항 (판결공시): 이 조항은 무죄 판결을 선고할 경우 판결 요지를 공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다만 피고인이 공시를 원하지 아니하거나 공시로 인하여 명예 등 회복 이외의 불이익을 받을 염려가 있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는 단서가 있습니다. 본 판결문에서 법원은 '형법 제58조 제2항 단서에 따라 이 부분 무죄판결의 요지를 공시하진 않는다'고 명시하여 피고인의 요청 또는 불이익 가능성을 고려하여 공시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계약 내용의 철저한 확인: 지입차주 계약과 같이 고정 노선, 매출, 순수익 등을 약속하는 계약에서는 반드시 계약의 당사자가 누구인지, 약속된 노선 및 물량을 실제로 보장할 수 있는지, 보장 주체가 누구인지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단순히 광고나 구두 약속에 의존하지 않고 계약서에 모든 내용이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객관적인 근거 자료 확보: 특정 노선에 대한 운송권이나 물량이 보장된다는 약속을 받았다면, 해당 약속이 근거하는 구체적인 자료(예: 원청과의 계약서, 물량 배정 내역 등)를 요청하고 직접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한 소개나 가능성 수준의 언급은 법적 구속력이 약할 수 있습니다. 지급 대금의 성격 명확화: 차량 대금, 취등록 비용 외에 "고정 노선 확보에 대한 권리금"과 같은 명목의 대금이 오가는 경우, 해당 금액이 어떤 근거로 산정되었는지, 그리고 그 권리가 어떻게 보장되는지를 명확히 해두어야 합니다. 이는 추후 분쟁 발생 시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분할 지급 약정 시 주의사항: 차량 매매 대금을 분할 지급하는 계약을 체결할 때는, 채무자가 처음부터 잔금을 지급할 의사가 없었음을 입증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계약서에 지급 시기와 방법, 불이행 시의 위약금 규정 등을 상세히 명시하고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남겨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존 채무 관계의 확인: 거래 당사자 사이에 이전에 발생한 채무 관계나 공정증서 등이 있는지 사전에 충분히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본인도 모르는 채무 관계가 연대 보증 등으로 엮여있을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확인하고 계약에 반영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