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이 사건은 주식회사 H의 소액 주주들이 법원의 허가를 받아 개최된 임시주주총회에서 내려진 여러 결의들이 무효이거나 부존재하며 취소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제기한 소송입니다. 원고 주주들은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절차, 의장 선임, 주주 참석 및 의결권 행사 방식, 자본시장법 위반 여부, 위임장 위조 및 철회 위임장 사용, 위임장 기재 오류 등 다양한 하자를 주장했으나, 법원은 대부분의 청구에 대해 소의 이익이 없거나 원고들의 주장을 인정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보아 각하 또는 기각했습니다. 특히 부결된 안건이나 임시의장 선임, 후속 총회에서 추인된 정관 변경 결의에 대해서는 소의 이익이 없다고 판단했고, 자본시장법상 대량보유 보고의무 위반이나 위임장 위조에 대해서도 결의의 효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이사 및 감사의 해임 및 선임 결의에 대해서는 관련 분쟁 해결의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보아 소의 이익을 인정하고 본안 판단을 진행했습니다.
피고 주식회사 H는 반도체 관련 사업을 하는 회사이며, 원고들은 피고 회사의 주주들입니다. 피고의 주주들인 주식회사 J, K, L은 법원의 허가를 받아 2022년 11월 11일에 피고의 임시주주총회를 소집했습니다. 이 임시주주총회에서는 임시의장 선임, 정관 변경, 기존 이사 및 감사 해임, 새로운 이사 및 감사 선임 등의 안건이 논의되었고, 일부는 가결되고 일부는 부결되었습니다. 원고들은 이 임시주주총회 결의 과정에 여러 하자가 있었다고 주장하며, 해당 결의들의 무효 확인, 부존재 확인 또는 취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원고들이 주장한 주요 하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법원에 의해 소집 허가된 임시주주총회에서 내려진 결의들이 법률상 다툴 이익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특히 부결된 안건, 임시의장 선임 결의, 그리고 후속 총회에서 추인된 정관 변경 결의에 대해 소의 이익이 인정되는지가 쟁점이었습니다. 둘째, 주주총회 결의 취소를 구하는 원고 E이 소송 도중 주식을 매도하여 주주 자격을 상실한 경우 당사자 적격이 유지되는지 여부입니다. 셋째,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절차와 진행 방식에 법률상 하자가 있었는지 여부입니다. 이는 소집권자가 누구였는지, 의장 권한 없는 자에 의해 진행되었는지, 일부 주주의 참석 및 의결권이 부당하게 배제되었는지 등을 포함합니다. 넷째, AB, AH, J회사 간 의결권 공동 행사 합의가 자본시장법상 대량보유 보고의무 위반에 해당하는지, 그로 인해 의결권이 제한되어야 하는지 여부입니다. 다섯째, 위조되거나 철회된 위임장을 사용하여 의결권을 산정한 것이 결의의 효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원고들의 주장을 대부분 받아들이지 않아, 부결된 안건, 임시의장 선임 결의, 정관 변경 결의(추인으로 인한), 원고 E의 결의 취소 청구(자격 상실로 인한)는 모두 각하되었으며, 나머지 주위적 및 예비적 청구는 모두 기각되었습니다. 소송비용은 원고들보조참가로 인한 부분은 원고들보조참가인들이, 나머지는 피고보조참가로 인한 부분을 포함하여 원고들이 각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직면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