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금전문제 · 압류/처분/집행
부동산 업무대행을 맡은 A 주식회사가 M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 및 새로운 업무대행사 L 주식회사와 합의했으나 약정된 합의금 중 1억 원을 받지 못하자 소송을 제기한 사건입니다. M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는 이 합의가 불공정하거나 강박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미 지급한 10억 원을 돌려달라는 반소를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합의가 유효한 화해계약으로 보아 A 주식회사의 청구를 받아들이고 M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의 반소는 기각했습니다.
2019년 3월, A 주식회사는 M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와 공동주택 건립 사업에 대한 업무대행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그러나 2020년 12월경부터 업무대행 용역 진행을 둘러싸고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M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는 2021년 4월 L 주식회사를 새로운 업무대행사로 선정했습니다. 이에 A 주식회사는 2021년 8월, M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를 상대로 채권가압류를 신청하고, 16억 315만 원(용역대금 15억 315만 원과 손해배상액 예정액의 일부인 1억 원)의 지급을 구하는 민사소송(선행 민사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선행 민사소송이 진행 중이던 2022년 6월부터 7월까지, A 주식회사와 M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는 각자의 변호사를 통해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이 과정에 L 주식회사도 참여하여 2022년 7월 11일 합의서를 작성했습니다. 합의서에는 M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가 A 주식회사에게 11억 원을 지급하고, L 주식회사는 M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와 연대하여 그중 1억 원을 지급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대신 A 주식회사는 11억 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한 주장을 포기하고 선행 민사소송을 취하하기로 했습니다. 합의에 따라 M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는 2022년 7월 15일 A 주식회사에게 10억 원을 지급했고, A 주식회사는 기존 소송을 취하하고 가압류를 해제했습니다. 그러나 나머지 1억 원이 지급되지 않으면서 A 주식회사는 1억 원 및 지연손해금을 청구하는 본소(이 사건 소송)를 제기했고, M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는 이 합의가 무효라고 주장하며 이미 지급한 10억 원을 돌려달라는 반소를 제기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A 주식회사와 M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 L 주식회사 사이에 이루어진 합의가 민법상 '화해계약'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 둘째, 이 합의가 민법 제104조에서 정하는 '불공정한 법률행위'에 해당하여 무효가 되는지, 또는 민법 제110조에서 정하는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에 해당하여 취소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셋째, 이 사건 합의의 기초가 된 업무대행계약이 무효이거나 해지되었더라도 합의 자체가 유효한지 여부입니다. 넷째, 합의서 내용 중 일부가 '부제소합의'에 해당하는지, 즉 향후 소송을 제기하지 않겠다는 약정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다섯째, 이미 지급된 10억 원이 부당이득 또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금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A 주식회사, M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 L 주식회사 사이의 합의를 '화해계약'으로 인정했습니다. 화해계약은 당사자들이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서로 양보하여 새로운 법률관계를 만드는 계약이며, 이 계약이 성립하면 이전의 법률관계는 소멸하고 합의 내용이 새로운 기준이 됩니다. 법원은 이 사건 합의가 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신중하게 이루어졌으며, A 주식회사가 당초 약 315억 원에 달하는 손해배상액의 일부를 청구하다가 11억 원으로 합의하는 등 상호 양보가 있었으므로, 불공정한 법률행위나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합의의 기초가 된 업무대행계약의 무효 여부와 상관없이 합의 자체가 유효한 화해계약이므로, 피고들의 주장은 이유 없다고 보았습니다. 반소 청구와 관련하여, 법원은 합의서의 '향후 민형사상 이의를 제기하지 않겠다'는 문구를 '부제소합의(소송을 제기하지 않겠다는 약속)'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본안 전 항변을 기각했습니다. 그러나 M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가 주장하는 합의 무효 사유가 인정되지 않았으므로, 이미 지급된 10억 원이 부당이득이나 불법행위로 인한 것이라는 주장 역시 받아들이지 않아 반소 청구를 최종적으로 기각했습니다.
이 사건에서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