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형사사건
피고인 A와 B 주식회사는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1심에서 피고인 A는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및 사회봉사 명령, 피고인 B 주식회사는 벌금 1,000만 원을 선고받았습니다. 이들은 형량이 너무 무겁다며 항소했고, 항소심 재판부는 피고인들의 잘못을 반성하고 있으며 이 사건으로 산업재해가 발생하지 않았고 시정명령에 따른 개선 조치를 모두 이행한 점 등을 고려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각각 벌금 800만 원으로 형량을 감경했습니다.
피고인 A와 B 주식회사는 사업장에서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안전 조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산업안전보건법을 위반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이들은 이미 과거에도 유사한 안전 의무 위반으로 여러 차례 벌금형 처분을 받은 전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한번 안전 조치를 소홀히 하여 법을 위반했습니다. 다행히 이번 사건으로 인해 실제 산업재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안전 조치 의무를 위반한 행위 그 자체가 처벌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원심에서 선고된 형량(피고인 A에게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명령; 피고인 B 주식회사에게 벌금 1,000만 원)이 법이 정한 범위 내에서 지나치게 무겁게 선고되어 부당하다는 항소이유(양형부당)의 주장이 받아들여질 것인지가 이 사건의 주요 쟁점입니다.
항소심 재판부는 피고인들의 항소를 받아들여 원심판결을 파기했습니다. 그 결과 피고인 A와 B 주식회사에게 각각 벌금 800만 원을 선고했습니다. 또한 피고인 A가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10만 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동안 노역장에 유치하도록 명령했습니다. 피고인들에게는 이 벌금에 상당하는 금액의 가납을 미리 납부하도록 명했습니다.
재판부는 피고인들이 이전에 동종 범죄로 여러 차례 벌금형을 받은 전력이 있어 잘못이 가볍지 않다고 인정했습니다. 그러나 피고인들이 자신의 잘못을 깊이 반성하고 있으며 이 사건 범행으로 인해 실제로 산업재해가 발생하지 않은 점, 부산지방고용노동청장의 산업안전보건 감독 점검에 따른 시정명령에 대해 개선 조치를 모두 이행했고 앞으로 재발 방지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점 등을 유리한 정상으로 참작했습니다. 이러한 여러 양형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원심의 형량이 무겁다고 판단하여 형량을 감경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된 주요 법령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 (안전 조치의무) 및 제168조, 제173조 (벌칙): 사업주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을 할 때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합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벌칙 규정(징역 또는 벌금)에 따라 처벌받게 됩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들은 이러한 안전 조치 의무를 다하지 않아 기소되었으며, 실제 재해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의무 위반 자체만으로 처벌 대상이 됩니다.
형법 제37조 (경합범) 및 제38조 (경합범과 처벌의 예): 여러 개의 죄를 저질렀을 때 그 죄들을 어떻게 처리하고 형량을 정할지에 대한 규정입니다.
피고인들이 여러 건의 안전 조치 의무 위반 혐의를 받았으므로 이 조항들이 적용되어 하나의 형으로 처벌될 수 있도록 합니다.
형사소송법 제364조 제6항 (항소법원의 심판): 항소법원은 피고인의 항소 이유가 정당하다고 인정할 때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판결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피고인들의 '양형 부당' 주장을 받아들여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새로운 형을 선고했습니다.
형법 제70조 제1항 (벌금과 과료의 노역장 유치) 및 제69조 제2항 (벌금과 과료의 집행유예):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정해진 기간 동안 교도소 등의 시설에서 노역에 종사하도록 하는 명령(노역장 유치)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피고인 A에게 벌금 납입 불이행 시 노역장 유치가 명해진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형사소송법 제334조 제1항 (가납의 선고): 법원이 벌금형을 선고할 때, 판결이 확정되기 전이라도 일단 벌금액에 상당하는 돈을 미리 납부하도록 명령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는 판결 확정 전이라도 벌금 집행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이 사건에서도 벌금형과 함께 가납 명령이 내려졌습니다.
만약 사업장에서 유사한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상황에 처하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반복되는 안전 위반의 심각성: 이 사건처럼 동종 범죄로 여러 차례 처벌받은 전력이 있는 사업주나 법인의 경우, 다음 위반 시에는 가중 처벌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사전에 철저한 안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고 발생 여부와 무관한 처벌: 산업안전보건법은 실제 산업재해가 발생했는지와 관계없이 사업주가 안전 조치 의무를 다하지 않은 행위 그 자체만으로도 처벌 대상이 됩니다. 안전 규정 준수가 최우선되어야 합니다.
적극적인 사후 조치의 중요성: 법규 위반 사실이 적발된 후에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깊이 반성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감독 기관의 시정명령에 따라 즉시 개선 조치를 이행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등의 적극적인 사후 조치는 형량 감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사업주 및 법인의 공동 책임: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시에는 사업주 개인뿐만 아니라 해당 법인(회사)도 함께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사 차원에서 안전 관리 책임자를 명확히 하고, 정기적인 안전 교육과 점검을 통해 법규 위반이 발생하지 않도록 총체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