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피고인 A는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도용하여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건강보험 급여 442,566원을 부정하게 수령했으며, 그 처방전을 이용해 향정신성 의약품인 졸피뎀 성분의 약 487정(319정 + 168정)을 불법으로 매수했습니다. 이 범행은 2020년 7월부터 2024년 6월까지 총 56회(사기/주민등록법 위반 36회, 마약류 매수 20회)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피고인은 이전에 사기 및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위반(향정)죄 등으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형 집행을 마친 지 얼마 되지 않아 다시 범행을 저질러 누범으로 가중 처벌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에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징역 4개월과 징역 8개월을 선고하고 78,455원을 추징하도록 명령했습니다.
피고인 A는 심각한 수면장애와 우울증으로 어려움을 겪던 중, 2020년 7월부터 2024년 6월까지 약 4년간 B와 G의 주민등록번호를 도용하여 병원에서 진료를 받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보험급여를 부정하게 수령하였고, 타인 명의로 발급받은 처방전을 이용해 향정신성 의약품인 졸피뎀 성분의 약을 총 56회에 걸쳐 불법 매수했습니다. 피고인은 2022년에도 사기 및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위반(향정)죄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2023년 5월에 형 집행을 종료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또다시 비슷한 범죄를 저질렀습니다.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부정 사용하여 건강보험 급여를 부정 수급한 행위의 사기죄 및 국민건강보험법위반죄 성립 여부, 동시에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부정 사용한 행위의 주민등록법위반죄 성립 여부, 부정하게 발급받은 처방전으로 향정신성 의약품을 매수한 행위의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위반죄 성립 여부, 이전 범죄 전력에 따른 누범 가중 및 여러 범죄에 대한 경합범 처리를 통한 형량 결정이 주된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는 타인의 신분 도용을 통한 건강보험 사기 및 마약류 불법 매수 범죄를 저질렀고, 이전에도 동종 범죄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어 가중 처벌을 받았습니다. 재판부는 피고인의 잘못을 인정하고 약물 중독 치료를 다짐하는 점, 심각한 수면장애와 우울증으로 범행에 이른 점 등을 유리한 정상으로 고려했지만, 범행 방법과 횟수, 그리고 동종 전과가 많아 불리한 정상으로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총 징역 12개월과 추징금 판결을 내렸습니다.
이번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것은 주민등록법 위반으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는 심각한 범죄입니다. 타인의 명의를 도용하여 병원에서 진료를 받거나 약을 처방받는 행위는 사기죄(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및 국민건강보험법 위반(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하여 건강보험 급여를 부정 수급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의사의 처방 없이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향정신성 의약품을 매수하거나 사용하는 것은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 위반으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약물 중독이나 정신 건강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 불법적인 방법 대신 전문 의료기관이나 상담 센터를 통해 합법적이고 안전하게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전에 같은 종류의 범죄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는 경우, 형 집행 종료 후 3년 이내에 다시 범죄를 저지르면 누범으로 가중 처벌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