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권/채무
이 사건은 채무자가 여러 채권자 중 특정 채권자에게만 자신의 재산을 양도하여 다른 채권자가 채무를 변제받기 어렵게 만들었을 때, 피해를 본 채권자가 그 재산 양도 행위를 취소해달라고 요구한 사해행위 취소 소송입니다. 법원은 채무자의 채권양도가 채무초과 상태에서 이루어져 다른 채권자의 채권을 해하는 사해행위에 해당한다고 보아 해당 채권양도 계약의 일부를 취소하고, 재산을 양도받은 채권자들과 채권을 지급해야 할 제3채무자에게 피해를 본 채권자에게 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E는 원고 A에게 금형 및 기계부품 대금으로 약 1억 2천2백만원의 빚을 지고 있었습니다. E는 2022년 4월 11일, 피고 주식회사 D과 5억1천4십만원 상당의 금형제작 계약을 맺었고, 계약금으로 2억5천5백2십만원을 받았습니다. 2022년 7월 6일, E는 자신의 다른 채권자들인 피고 B에게 5천7백만원, 피고 주식회사 C에게 1억원의 피고 주식회사 D에 대한 금형제작 대금 채권을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채권양도 계약서에는 확정일자를 받지 않았습니다. 이 당시 E는 전체 자산 3억6천2십만원(D에 대한 대금 채권 2억5천5백2십만원 + 아파트 지분 1억5백만원)에 비해 채무가 4억4백3십9만6천6백4십5원(N, 원고 A, 피고 B, 피고 C, 한국주택금융공사 등에 대한 채무 합계)으로 채무초과 상태였습니다. 원고 A는 2023년 1월 26일, E의 피고 주식회사 D에 대한 채권 중 5천9백여만원을 가압류하는 결정을 받았고, 이 결정은 2023년 1월 31일 피고 주식회사 D에게 송달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 주식회사 D은 2023년 2월 15일, 피고 B에게 4천만원, 피고 주식회사 C에게 6천만원을 지급했습니다. 원고 A는 2023년 2월 4일 E에 대한 물품대금 채권 1억1천8백여만원에 대한 지급명령을 확정받았고, 2023년 3월 8일 피고 주식회사 D에 대한 채권에 대해 본압류 및 추심 명령을 받았습니다. 이에 원고 A는 E와 피고 B, C 간의 채권양도 계약이 사해행위이므로 취소해달라고 청구하고, 피고 주식회사 D에게는 가압류 및 압류된 채권에 대한 지급을 요구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E가 피고 B과 C에게 채권을 양도한 행위가 원고 A의 채권을 해하는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 둘째, 채권양도 당시 E가 채무초과 상태였는지, 그리고 채권을 양도받은 피고 B과 C가 E의 재산 상태를 알고 있었는지(악의) 여부입니다. 셋째, 피고 D가 원고 A의 채권가압류 및 압류 추심 명령에도 불구하고 피고 B과 C에게 대금을 지급한 것에 대한 책임 범위입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이 판결은 채무자가 자신의 채무가 많아 재산을 모두 갚을 수 없는 상황에서 특정 채권자에게만 재산을 넘겨 다른 채권자들이 피해를 입게 하는 행위(사해행위)는 법적으로 취소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또한, 채권가압류나 압류 명령이 내려진 후에는 제3채무자가 해당 채무자에게 직접 대금을 지급하면 안 되며, 이를 어길 경우 채권자에게 다시 변제해야 할 책임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줍니다. 채권양도의 경우 확정일자가 없는 채권양도는 채권가압류에 우선할 수 없다는 점도 중요합니다.
이 판결에서 다뤄진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