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채무 · 행정
주식회사 A는 D에게 대여금 채무가 있었으나 D은 채무초과 상태였습니다. D은 아버지 F으로부터 상속받은 토지 지분(유일한 재산)을 다른 상속인인 피고 B과 상속재산 재분할 약정을 통해 피고 B에게 넘겼습니다. 주식회사 A는 이 재분할 약정이 D의 채무를 회피하기 위한 사해행위라고 주장하며 취소를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B과의 재분할 약정 중 D의 상속 지분 1/4에 대해서는 사해행위를 인정하여 취소하고, 해당 지분의 소유권경정등기를 말소하도록 판결했습니다. 그러나 피고 C에 대한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D은 원고 주식회사 A에게 15,142,842원 및 지연이자를 포함하는 대여금 채무가 있었고, 2023년 7월 18일 지급명령이 확정되어 채무초과 상태에 있었습니다. D은 사망한 아버지 F으로부터 경북 예천군 E 전 4,539㎡ 중 1/4 지분을 상속받아 유일한 재산으로 가지고 있었습니다. D은 2023년 7월 27일 다른 상속인인 피고 B, C, G와 상속재산 재협의분할 약정을 체결하여 자신의 1/4 지분을 피고 B에게 이전하고, 피고 B은 이로 인해 총 2/4 지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에 원고 주식회사 A는 D의 이러한 재분할 약정이 채권자를 해하는 사해행위라며 취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채무자가 채무초과 상태에서 유일한 재산인 상속 지분을 상속재산 재분할 약정을 통해 다른 상속인에게 넘긴 행위가 채권자를 해하는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사해의사와 수익자의 악의 추정 여부가 주요 쟁점입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채무자 D이 자신의 채무를 피하기 위해 유일한 재산인 상속 지분 1/4을 피고 B에게 넘긴 재분할 약정을 사해행위로 보고 취소했으며, 피고 B에게 해당 지분에 대한 소유권경정등기를 말소하도록 명령했습니다. 그러나 원고가 주장한 피고 B에 대한 1/4 지분 초과 부분 청구와 피고 C에 대한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