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동
사회복지법인 직원이던 원고들이 미지급 임금을 받기 위해 전 고용주인 사회복지법인과 법인과 관련된 개인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재판부는 원고들이 법인과 맺은 '부제소합의'에 따라 특정 기간의 임금 청구는 받아들이지 않았으나, 그 이후의 미지급 임금에 대해서는 법인이 원고들에게 일부 지급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또한, 개인에 대한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원고들은 사회복지법인 G에서 직원으로 근무했으나, 2017년 7월부터 10월까지의 임금 등을 제대로 지급받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원고들은 사회복지법인 G뿐만 아니라 법인과 관련된 개인 F를 상대로도 임금 지급을 청구했습니다. 소송 과정에서 원고들이 과거에 특정 기간 임금에 대해 민, 형사상 이의를 제기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확인서'를 사회복지법인 G에 제출한 사실이 드러나, 이 확인서가 '부제소합의'로서 임금 청구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쟁점이 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원고들의 실제 고용주가 피고 F 개인인지 아니면 피고 사회복지법인 G인지 여부입니다. 둘째, 원고들이 이전에 서명한 '부제소합의'(소송을 제기하지 않겠다는 합의)가 특정 기간의 임금 청구에 어떤 법적 효력을 미치는지 여부입니다. 셋째, 부제소합의에 해당하지 않는 기간의 미지급 임금 청구가 정당한지 여부 및 그 금액입니다. 넷째, 미지급 임금에 대한 지연손해금(늦게 지급함으로써 발생하는 손해금)의 적절한 이율은 얼마인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원고들은 피고 F에게서 어떠한 임금도 받을 수 없게 되었고, 피고 사회복지법인 G으로부터는 부제소합의가 적용되지 않는 특정 기간(2017년 9월 및 10월)의 미지급 임금만을 인정받아 지급받게 되었습니다. 지연손해금 역시 원고들이 청구한 연 20%가 아닌 민법 및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상의 법정 이율(연 5% 또는 연 12%)이 적용되었습니다. 이는 근로계약 당사자 확인과 부제소합의의 법적 효력, 그리고 근로관계 종료 여부 및 시점 입증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 사건과 관련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