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 · 기타 금전문제 · 노동
원고는 피고에게 온라인 광고 대행 및 사업 컨설팅 용역을 제공하고 그 대금을 청구했으나, 피고는 정식 계약이 없었고 무료 광고를 약속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피고는 반소로 상표권 불법 행사 및 원고의 부실한 업무처리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피고가 원고의 실제 광고 대행 지출 비용은 지급해야 하지만, 용역 대가나 컨설팅 비용에 대한 약정은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피고의 반소 청구는 모두 기각되었습니다.
원고는 피고의 가구 사업(C 대구, 용인, 하남점) 및 신규 사업(㈜D 설립 컨설팅)에 대한 온라인 광고 대행과 시장 분석, 브랜드 컨설팅 등의 업무를 수행했습니다. 원고는 이에 대한 용역 대금 1억 3천여만 원을 청구했으나, 피고는 정식 계약이 없었고 업계 관행상 무료 광고를 약속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피고는 원고가 'F' 상표권에 대해 자신이 정당한 권리자라고 허위 주장하며 가처분 신청을 제기하여 극심한 스트레스와 사업상 지장을 초래했다며 위자료 1천만 원을 청구했습니다. 추가로 원고의 부실한 업무처리로 피고가 소개한 업체들과의 계약이 해지되어 수수료 명목의 이득금 5백만 원을 받지 못하게 되었다며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원고와 피고 사이에 온라인 광고 대행 및 컨설팅 용역 계약이 체결되었는지 여부, 피고가 원고에게 지급해야 할 용역 대금의 범위(실제 지출 비용, 용역 대가, 컨설팅 비용 포함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또한 피고가 주장하는 상표권 불법 행사에 따른 위자료 및 원고의 부실 업무처리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의 타당성도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본소에 대해 피고는 원고에게 30,151,529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2020년 11월 5일부터 2021년 10월 7일까지 연 5%, 그 다음 날부터 갚는 날까지 연 12%)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의 나머지 본소 청구(용역 대가 및 컨설팅 비용)와 피고의 반소 청구(상표권 위자료 및 손해배상)는 모두 기각되었습니다. 소송비용은 원고가 60%, 피고가 40%를 각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법원은 원고가 피고의 광고 대행을 위해 실제로 지출한 비용만 인정하고, 용역 대가나 컨설팅 비용에 대한 별도 약정은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피고의 반소 청구도 모두 기각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피고는 원고에게 일부 지출 비용과 지연손해금을 지급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