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노조가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에서 역대급 요구를 내걸고 파업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기본급 인상부터 시작해 사상 최대 규모의 성과급 3조 8천억 원, 주 4일 근무제 도입까지 '초대형 요구서'를 들고 나왔습니다. 게다가 찬반투표에서 90% 이상의 압도적 찬성률을 기록하며 파업 돌입이 점점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사측은 이 같은 요구가 무리하다고 맞서며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했습니다.
투표 참여율도 무려 86.6%, 찬성률 91.9%로 노조 내부의 단결력은 대단합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글로벌 불확실성, 예컨대 미국의 예상치 못한 관세 문제 등으로 파업 강행에 따른 부담도 만만치 않은 상황입니다. 그래서인지 기아 노조는 중노위의 교섭 중지 결정 여부와 별개로, 22일 실무회의를 통해 대화를 이어가는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이는 '우리도 대화는 계속하자'라는 선 긋기와도 같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같은 완성차 업계 내 현대차 노조는 낮은 찬성률에도 불구하고 임단협을 매끄럽게 끝냈고, 다른 기업들도 추석 전에 협상을 마쳤다는 사실입니다. 유독 기아만 막판까지 진통을 겪는 것은 노조 요구안이 특히 강도 높고 포괄적이기 때문입니다. 성과급과 주 4일제 도입 요구는 동종 업계 다른 노조의 요구를 넘어섰습니다.
기아 노조는 이번 임단협을 5년 만에 처음으로 무분규 타결 불능 위기로 몰아넣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아직 파업 투쟁 출발선에 서 있을 뿐 실제 파업 실행 여부는 절차를 거쳐 결정됩니다. 즉, 22일 실무협상 결과와 중노위 조치가 관건이 될 것입니다.
이번 기아 노조 사태는 마치 법정에서 벌어지는 치열한 협상과도 같습니다. 한쪽은 합리적 요구라 주장하고, 다른 한쪽은 현실적인 한계를 내세웁니다. 파업은 언제든 법적 다툼으로 비화할 수 있는 문제여서 교섭 과정에서 법률적 지식과 절차를 제대로 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노조와 사측 모두 대화와 합의점을 찾아가는 법률적 민감도가 정말 필요한 순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