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매매/소유권
건물 소유주였던 F과 원고 A은 공동으로 건물을 소유하고 있었고, F은 피고 D, E에게 해당 건물을 임대했습니다. 최초 임대차 계약은 2017년 6월 1일부터 2022년 5월 31일까지 60개월, 보증금 4천만 원, 월세 420만 원으로 체결되었습니다. 그러나 피고들은 2022년 5월까지 총 9,785만 원의 차임을 연체했고, 이 중 4천만 원은 보증금에서 공제되었습니다. 미지급 차임 5,785만 원은 2022년 6월까지 지급하기로 하고, 새로운 임대차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새로운 계약은 2022년 5월 24일에 체결되었으며, 임차 기간은 2022년 6월 1일부터 2027년 5월 31일까지 60개월, 보증금 5천만 원, 월세는 2022년 6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420만 원, 2024년 1월부터 500만 원으로 정해졌습니다. 하지만 피고들은 새 계약의 보증금 5천만 원도 지급하지 못했고, 2024년 5월 31일까지 총 7,930만 원의 차임을 추가로 연체했습니다. 임대인 F은 2024년 5월 25일 사망하였고, 그의 재산은 배우자인 원고 A이 3/7지분, 자녀들인 원고 B, C가 각 2/7지분으로 상속받았습니다. 상속인인 원고들은 피고들의 3기 이상 월세 연체를 이유로 임대차 계약 해지를 통보하고, 건물 인도와 미지급 차임 지급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피고 D는 이 사건 임대차 계약서가 위조되었다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건물 소유주 F과 원고 A이 피고들에게 건물을 임대하였으나, 피고들이 오랜 기간 월세를 연체하면서 임대차 계약 조건이 변경되고 새로운 계약이 체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월세를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F의 사망 후 그의 상속인들인 원고 A, B, C가 3기 이상의 월세 연체를 이유로 임대차 계약 해지를 통보하고 건물의 인도 및 미지급 차임의 지급을 요구하게 되면서 발생한 분쟁입니다. 이 과정에서 피고 D는 새로운 임대차 계약서가 위조되었다고 주장했으나 법원에서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임차인들의 장기간에 걸친 차임 연체로 인해 임대차 계약이 적법하게 해지되었는지 여부와 그에 따른 건물 인도 및 미지급 차임, 그리고 건물 인도 시점까지의 부당이득금 지급 의무가 발생하는지 여부입니다. 또한, 임대인 사망 시 임대인 지위의 상속과 연체 차임 및 부당이득금의 상속 지분별 계산의 적절성도 중요한 쟁점이었습니다. 피고 D가 주장한 임대차 계약서 위조 여부도 다툼의 대상이었습니다.
법원은 피고들이 공동하여 원고들에게 별지 목록 기재 건물을 인도하고, 미지급 차임 및 지연손해금, 그리고 건물 인도시까지의 월세 상당 부당이득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원고 A에게는 총 58,778,571원(종전 계약 연체 차임 24,792,857원 + 새 계약 연체 차임 33,985,714원)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24,792,857원에 2022년 7월 1일부터 연 25%, 33,985,714원에 2024년 6월 1일부터 연 20% 이자), 그리고 2024년 6월 1일부터 2024년 8월 14일까지 월 2,142,857원, 그 다음 날부터 건물 인도시까지 월 3,571,482원의 월세 또는 부당이득금을 지급하도록 명했습니다. 원고 B와 C에게는 각각 39,185,713원(종전 계약 연체 차임 16,528,571원 + 새 계약 연체 차임 22,657,142원)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16,528,571원에 2022년 7월 1일부터 연 25%, 22,657,142원에 2024년 6월 1일부터 연 20% 이자), 그리고 2024년 6월 1일부터 2024년 8월 14일까지 월 1,428,571원, 그 다음 날부터 건물 인도시까지 월 714,285원의 월세 또는 부당이득금을 지급하도록 명했습니다. 소송비용은 피고들이 모두 부담하며, 이 판결은 가집행할 수 있다고 결정했습니다. 피고 D의 계약서 위조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피고 E에 대한 판결은 공시송달에 의해 진행되었습니다.
법원은 임차인인 피고들이 임대차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고 장기간 차임을 연체하여 임대차 계약이 적법하게 해지되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피고들은 임대인의 상속인들에게 건물을 인도하고 연체된 차임과 지연손해금 및 건물 인도 시까지의 부당이득금을 각 상속 지분에 따라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최종 판결했습니다.
이 사건은 임대차 계약 해지 및 건물 인도, 그리고 미지급 차임 및 부당이득금 청구에 관련된 것으로, 주로 다음 법령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