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권/채무
채무자 J에게 대여금 채권이 있던 원고들이 J이 자신의 부동산들을 피고 G 주식회사와 피고 I에게 처분한 행위가 채권자들을 해치는 사해행위라고 주장하며 해당 매매계약을 취소하고 재산의 원상회복을 요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당사자들의 이익과 모든 사정을 고려하여 화해권고결정을 내렸습니다. 이에 따라 피고 G 주식회사는 원고들에게 총 789,378,973원 중 각 채권액 비율에 따른 가액배상금을 지급하고, 피고 I는 자신이 소외 L에게 이전한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를 말소하며, 원고들은 나머지 청구를 포기하고 소송비용은 각자 부담하도록 결정되었습니다.
채무자 J는 원고들에게 대여금 채무를 지고 있었고, 원고들은 이에 대한 지급명령 결정을 받아 채권을 확보한 상태였습니다. 그러나 J은 2018년 10월 23일 피고 주식회사 G에게 별지1 목록 기재 부동산을, 2018년 12월 31일 피고 I에게 별지2 목록 기재 부동산을 각각 처분했습니다. 이 부동산 처분 행위는 이미 다른 채권자들이 제기한 소송에서 사해행위로 판결이 확정된 바 있었습니다. 이에 원고들은 J의 이 같은 행위가 자신의 채권 회수를 어렵게 할 목적으로 이루어진 사해행위라고 주장하며, 피고들을 상대로 해당 매매계약의 취소와 함께 부동산의 원상회복 또는 그에 상응하는 가액배상을 청구하게 되었습니다. 원고들은 자신들의 채권이 모두 사해행위 이전에 성립되었음을 강조했습니다.
채무자가 채권자들의 채무를 회피하기 위해 자신의 부동산을 다른 사람에게 처분한 행위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이러한 사해행위가 인정될 경우 채권자들이 해당 매매계약을 취소하고 부동산의 원상회복 또는 가액배상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당사자들의 이익 등을 종합적으로 참작하여 다음과 같은 화해권고결정을 내렸습니다.
이 사건은 채무자가 채무 변제를 피하고자 재산을 빼돌렸을 때, 채권자들이 법적 절차를 통해 해당 행위를 취소하고 손해를 일부 회복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법원의 화해권고결정을 통해 피고 주식회사 G은 채권자들에게 금전으로 배상하고, 피고 I는 이전된 부동산 등기를 말소함으로써 사해행위로 인한 재산의 원상회복 또는 가액배상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채권자의 정당한 권리를 보호하고, 채무자의 부당한 재산 처분을 방지하려는 민법의 정신을 구현한 결과입니다.
이 사건은 주로 민법상의 채권자취소권(사해행위취소권)과 관련된 법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채무자가 빚을 갚지 않기 위해 자신의 재산을 다른 사람에게 넘겨버린 경우, 채권자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대응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