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채무
원고 A는 피고 B, C 부부에게 수리센터 부지 및 건물 인수 조건으로 3억 원을 지급하고, 추가로 피고 B에게 1억 8,195만 5,000원을 대여했으며, 피고 C에게 건물 임대차보증금 7천만 원을 지급했습니다. 그러나 부지 및 건물 매매 계약이 무산되고 임대차 계약도 해지되자, 원고는 피고들에게 3억 원의 부당이득 반환, 대여금 1억 8,195만 5,000원 반환, 임대차보증금 7천만 원 반환, 그리고 피고 B의 폭언 및 폭행에 대한 위자료를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B과 C이 공동하여 3억 원 중 일부를 부당이득으로 반환하고, 피고 B이 1억 8,195만 5,000원의 대여금을 반환하며, 피고 C이 임대차보증금 중 일부를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피고 B의 폭언 및 폭행으로 인한 위자료 100만 원 지급 의무도 인정했습니다. 다만 피고 C에 대한 일부 청구는 채권압류 및 추심 명령으로 각하되었습니다.
원고 A는 외제차 수리센터를 운영하며 새로운 사업 부지를 찾던 중, 피고 B, C(사실혼 관계)을 만나 순천 지역의 토지들을 매수하여 수리센터를 신축하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초기에는 원고 명의로 토지 매매 계약을 체결하고 피고 C이 계약금을 송금하는 등 협력하는 듯했으나, 이후 토지 매매 계약의 매수인이 피고 C과 피고 B의 형수인 E로 변경되고 피고 C 명의로 건물이 신축되었습니다. 원고는 신축될 건물과 부지를 인수하는 조건으로 피고 B에게 총 3억 원을 송금했고, 추가로 피고 B에게 생활비 등의 명목으로 여러 차례 돈을 빌려주었습니다. 신축된 건물에 대해 원고와 피고 C은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원고는 보증금 7천만 원을 지급한 후 수리센터를 운영했습니다. 그러나 건물 인수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피고 B은 원고에게 추가 자금을 요구하거나 돈을 갚으라는 요구에 폭언과 폭행을 가하며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결국 원고는 이 사건 건물에서 퇴거하고 다른 곳에 수리센터를 열었으며, 피고들에게 빌려준 돈과 보증금의 반환, 그리고 불법행위로 인한 위자료를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원고가 피고 B에게 송금한 3억 원이 단순 대여금인지 건물 매매의 선급금인지 여부와 그 반환 의무 발생 여부. 피고 B과 C의 사실혼 관계가 3억 원 반환 채무를 공동 또는 불가분채무로 만드는지 여부. 피고 B의 원고에 대한 상계 주장(선이자, 공증비, 이자 등 4,284만 원)의 타당성 및 범위. 원고가 피고 B에게 대여한 1억 8,195만 5,000원이 일상 가사에 관한 채무로 보아 피고 C에게도 연대 책임이 있는지 여부. 원고와 피고 C 간 임대차 계약이 피고 B의 폭행 및 폭언으로 인해 적법하게 해지되었는지 여부. 피고 C의 미지급 임료 공제 항변 및 대여금 상계 항변의 타당성. 피고 B의 원고에 대한 폭언 및 폭행이 불법행위에 해당하는지, 그에 따른 위자료 지급 의무가 있는지 여부. D의 채권압류 및 추심 명령이 원고의 피고 C에 대한 채권 청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원고가 수리센터 부지 및 건물 인수를 조건으로 지급한 3억 원에 대해 피고 B, C의 공동 반환 의무를 인정하고, 피고 B의 개인적인 대여금 채무와 불법행위로 인한 위자료 지급 의무도 인정했습니다. 또한 피고 C의 임대차보증금 반환 채무도 인정했으나, 피고들의 상계 항변과 채권압류 및 추심 명령으로 인해 각 청구금액이 조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