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가 대표이사 후보를 정하기 위해 후보 33명 중 서류 심사 대상자 16명을 추린 건 맞지만, 숏리스트 공개라는 조치가 과연 의미 있는 투명성 강화일까요? 과거에는 PT(프레젠테이션) 면접 대상자를 공개했지만 이번에도 비슷한 절차를 따르면서도 여전히 이사회에 대한 불신은 줄어들지 않고 있어요. 정부 변화에 따라 임명 과정에 외압이 있었다는 의혹과 정치권 낙하산 논란이 국민 신뢰를 갉아먹고 있거든요.
노무현 정부 시절만 해도 사외이사 8명과 함께 전직 CEO 및 노동조합 의견을 수렴하는 외부 전문 인사가 포함돼 총 10명이 후보를 심사했어요. 이는 전·내부 조건을 균형 있게 파악하기 위한 방법이었죠. 그런데 이석채 전 회장 연임 무렵 해당 제도가 폐지되며 오로지 사외이사 8명만으로 심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PT 자료와 제출물만 가지고 인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부실 심사 우려가 커지는 대목입니다.
KT 노동조합 역시 숏리스트 발표 이후 “절대 안 되는 후보”에 대한 강력한 반대 입장을 예고 중입니다. 과거 정치권 낙하산 CEO로 경영 실패를 경험한 이들이 다시 이런 상황을 반복하지 않으려는 의지입니다. 오히려 이사회가 투명성을 강조하지만 그 배경과 여론 수렴 절차는 오히려 퇴보한 셈이니, '보여주기 식' 절차가 아닌 진짜 개혁이 시급하겠어요.
이번 KT CEO 인선을 바라보는 시선은 단순 경영진 교체에 그치지 않습니다. 권력과 정치적 영향력이 개입할 수 있는 기회의 공간이기에 법적 분쟁이나 내부 갈등 가능성이 무시할 수 없어요. 이사진의 의사결정 투명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결국 주주, 소비자, 직원 모두가 피해자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사회 구성 및 대표 선임 과정에서 과거에 폐지된 외부 청취 장치를 부활시키는 방안, 노조 및 내부 구성원 의견을 공식적으로 반영하는 시스템 마련이 절실해 보입니다. 그래야만 KT가 단순한 명단 공개로 끝나는 게 아니라 실질적인 신뢰 회복과 경영 혁신을 이룰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