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국민의힘에서 ‘당원 투표 반영률 70%로 상향’ 얘기가 핫해요. 쉽게 말해, 당원들의 의견을 더 많이 반영하겠다는 건데요, 문제는 당원이 어느 쪽인지에 따라 정치색이 확 달라질 수 있다는 거죠. 당심 확대가 고령층과 보수층에 더 집중된다는 걱정도 나오고 있어요.
중진 의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데요. 나경원 의원은 "당심 강화는 뿌리 내리기"라면서 당원들의 의견이 다양해 민심의 축소판이라고 주장해요. 하지만 윤상현 의원은 "지방선거는 당대표를 뽑는 선거가 아니다"라며 일반 민심의 비중이 떨어지면 오히려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한편, 국민경선 100% 오픈프라이머리 제도를 주장하는 인사도 있는데요, 이는 모든 국민이 참여하는 투표로 당대표나 후보를 뽑자는 거죠. 이 방식은 중도층과 무당층의 참여를 독려해 폭넓은 지지를 받는 데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아요.
최근 조사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지율이 조금 반등했지만 주로 고령층과 보수층에서 뭉친 영향이 큽니다. 중도층과 특정 지역에서 이탈하는 흐름이 있어요. 그래서 당심 반영률을 높여서라도 콘크리트 지지층을 다잡아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 거죠.
뜬금없지만 이런 투표 반영 비율 변경은 당규개정 절차를 거쳐야 해요. 당규는 그냥 만드는 게 아니라 정해진 절차와 조건에 따라 바꿔야 하는 만큼 이 과정에서 분쟁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반대파가 절차적 하자를 주장하며 법적 대응을 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겠죠.
결국 당심과 민심 중 누구의 의견이 선거의 방향타를 쥘지, 그리고 그것이 실제로 투표 참여와 결과에 어떤 영향을 줄지 지켜보는 것이 중요해요. 여러분의 소중한 한 표가 어떻게 쓰이는지 꼼꼼히 챙겨야 할 시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