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UAE가 AI · 우주 · 바이오헬스 등 첨단 산업에 무려 350억 달러가 넘는 경제효과를 노리는 중대한 협력에 나섰어요. 여기에는 7건의 MOU가 포함됐는데요, AI 데이터센터 건설 등 미래산업 전반에 대한 대규모 프로젝트도 포함돼 있습니다. 그런데, 규모가 클수록 복잡해질 수밖에 없는 법적인 부분, 알고 계시나요?
특히, 해외에서 이뤄지는 대규모 AI 투자와 데이터센터 건설은 지역 간 법률 차이, 데이터 보호 규제, 지적재산권 문제 등 많은 난관이 숨어있답니다. 한국 기업이 UAE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계약 분쟁, 투자 관련 법적 책임 범위, 개인정보보호법 적용 여부 같은 문제들이죠.
이번 협력에서 주목할 만한 다른 분야는 지적재산권이에요. AI 기술과 지재권 간 관계는 끊임없이 변하는 만큼, 국제 지재권 보호 협력 강화가 필수적입니다. 협업 중 발생하는 기술 유출, 라이선스 분쟁, 특허권 침해 문제는 물론이고, AI가 만들어내는 창작물의 권리 귀속 문제까지 막중한 법률적 과제죠.
K컬처와 융합하여 ‘UAE-K CITY’를 구축한다는 계획도 담겨 있기에, 문화 콘텐츠 관련 저작권 분쟁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답니다. 해외 진출 시 거래 계약서, 라이선스 계약 등 법적 문서 준비를 꼼꼼히 해야 이후에 뜻하지 않은 분쟁을 피할 수 있어요.
그뿐만 아니라, AI 등 신기술 분야 계약에는 흔히 등장하는 ‘규제 샌드박스’ 적용 등 새로운 조건들이 숨어 있어요. 이런 행정적 특례나 면제를 받는 조건, 기술 개발 주체 간 책임 분배, 데이터 활용 범위 등이 명확하지 않으면 법정 다툼으로 번질 우려가 큽니다.
한 번 계약 체결 전에 법률 전문가와 꼭 상의하고, 특히 해외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면밀한 계약서 검토와 조항 삽입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죠. 터무니없는 소송 비용과 시간 낭비를 막으려면 ‘불가역적 협력 장치’ 같은 말은 신중하게 해석할 필요가 있어요.
이번 협력을 통해 한국과 UAE는 우주 탐사, 바이오헬스, 에너지 분야까지 협력 범위를 넓혔습니다. 하지만 이런 다양하고 복잡한 국제 협력에서는 법적 분쟁 위험 역시 커짐을 잊으면 안 돼요. 어느 한쪽이 약속을 어겼을 때 손해 배상이나 분쟁해결 절차가 미리 정해지지 않았다면 큰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우리 일상에까지 영향을 미칠 ‘대형 AI 프로젝트’와 미래 산업 협력이 이렇게 날로 확대되는 만큼, 각 참여 기업과 개인들의 법률 의식도 반드시 함께 성장해야 하지 않을까요? 여러분의 사업 계획서나 투자 제안서에 빠졌던 ‘법적 안전판’은 없는지 한 번 더 점검해보실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