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해양수산부가 북극항로에 엄청난 예산을 쏟아붓고 있다는 소식, 혹시 들었나요? 2026년 정부 예산안이 올해보다 8.1% 증가한 7조 3천억 원으로 편성됐는데, 그중 상당 부분이 북극항로 쇄빙선과 연구선, 교육 인프라 구축에 몰려있답니다. 부산항 신항 건설에도 무려 4622억 원이 투입되니까요. 반면 충남 서해안, 특히 대산항과 당진항은 기본 유지·보수 수준에 머물러 있고 새 사업은 전무한 상태예요.
서해안은 단지 '생활형 바다'로 분류돼 북극항로 같은 '국가 주력사업'에 밀리고 있죠. 심지어 서해안의 해양쓰레기 문제는 심각한데도 전용 수거선 한 척 건조할 예산조차 배정되지 않았답니다. 이는 지역 주민뿐 아니라 전국 해양환경에도 악영향을 끼칠 위험이 높아요.
서해안의 대산항과 당진항은 각각 석유화학단지와 수도권 산업단지를 잇는 중요한 물류 거점이면서 친환경 수소산업 벨트를 꿈꾸고 있죠. 관광산업으로서도 천혜의 경관을 가진 바다는 국가 자산입니다. 그런데도 정부 정책은 부산·북극항로 중심으로만 움직이면서 지역 맞춤형 투자는 등한시되는 아이러니가 벌어지고 있어요.
이뿐 아니라 해양 관련 기관 이전 문제도 서해안은 배제된 채 모두 부산행으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국회에서도 부산 해양수도 특별법안을 통과시키면서 해수부 및 공공기관 이전을 법적으로 지원하는 등 북극항로와 부산 쪽에 모든 힘을 몰아주는 상황이에요.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서해안은 예산 배분의 '찬밥 신세'가 되고 있습니다. 해양산업과 지역 주민을 위한 맞춤형 지원이 절실한 시점인데요.
그럼 이런 상황에서 해양 지역 주민이나 지역 산업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혹은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해양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을까요? 이런 이야기는 다음에도 이어서 파헤쳐 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