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국내 정치·외교 무대에서 꽤나 뜨거운 관심을 받은 이슈가 있었습니다. 바로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핵추진 잠수함에 쓸 연료를 공급해달라”고 직접 요청했다는 소식이었죠.
이 요청은 단순한 무기 제공이나 군사 협력 이상의 의미가 숨어 있는데요. 핵잠수함은 작전 활동 중 연료 보충이 필요 없는 장거리 잠수함으로, 북한이나 중국과 같은 주변 국가들의 해양 군사력에 대항해 우리의 해상방어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전략적 무기입니다.
대통령은 이 점을 분명히 하며 “핵무기를 탑재하려는 게 아니”라는 점을 여러 번 강조했습니다. “우리는 재래식 무기를 탑재한 핵추진 잠수함을 만들겠다”는 말입니다. 즉, 무장용 핵잠수함이 아닌, 군사 기술력 향상과 방어 능력 강화 차원의 핵연료 공급 요구랍니다.
한편, 우리 정부는 이미 기존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에 대한 논의를 가동해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 및 우라늄 농축 허가 같은 사안들이 어느 정도 진전된 상황인데요, 이번엔 한 단계 더 나아가 핵잠수함 연료 공급 문제까지 건드린 셈입니다.
재미있는 부분은 이 지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돌발적인 답변을 했다는 겁니다. 핵잠수함 연료 공급 요청에 대한 분명한 답변 대신, 양국 간 조선업 협력과 미국 조선소 인수 소식에 대한 칭찬을 늘어놓으면서 턱없이 엉뚱한 쪽으로 대화를 돌렸다고 하네요.
“필라델피아에 좋은 조선소를 인수했다, 앞으로 한국과 미국이 조선을 함께 이끌 것”이라며 조선 산업을 주제로 회담 초점을 옮기는 모습이었습니다. 냉소적으로 말하면, 핵잠수함 연료 공급이란 심각한 문제를 ‘외면’한 셈이죠.
이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핵추진 잠수함 보유 및 연료 공급을 공개적으로 요청한 건 초유의 일이었습니다. 전례 없는 요구를 ‘결단’이라는 단어까지 꺼내며 강력히 어필한 점이 외교 무대에서 꽤나 이례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방위비 증액 역시 확실하게 도와주겠다는 의지도 다시 한번 전했는데요, 우리나라가 핵심 안보 전략에 눈독 들이고 있다는 점을 세계에 똑똑히 알린 셈이죠.
이번 정상회담은 언뜻 보면 정상 간 우호적인 스킨십과 협력 약속으로 마무리됐지만, 사실 돌려 말하는 미국의 태도와 한국의 요구 사이에는 묘한 긴장감이 흐르고 있습니다. 핵잠수함 연료 공급 문제는 단순한 군사 협력이 아닌 국제 정세와 안보 체계 전반을 뒤흔들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니까요.
혹시 여러분 주변에도 ‘나중에 다툼이 될 만한 약속이나 요구’가 있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이번 대화를 통해 생각해보면 좋겠어요. 명확한 답변 대신 우회적인 반응을 들었을 때, 대화의 주도권을 쥐고 분명한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말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