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국정감사가 벌써부터 뜨거워지고 있어요. 통신3사인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CEO들이 줄줄이 국회 증인으로 불려나오는 상황인데요. 이유는 바로 개인정보 유출과 대규모 해킹 사고 때문입니다. 한번 유출 사고가 터지면 벌집 쑤신 것처럼 불신이 확산되면서 통신사 이미지가 바닥을 치기 마련이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에서 유영상 SKT 대표, 김영섭 KT 대표,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 모두 증인으로 소환된다는 소식이에요. 게다가 김영섭 대표는 하루에만 두 곳 국감 출석을 요구받아 증언대를 이리저리 오가야 하는 강행군 중입니다.
SK텔레콤의 경우 가입자 2300만 명 이상 휴대전화 정보가 해킹 당하는 최악의 사건이 벌어졌어요. IMSI, 유심인증키 등 생체정보처럼 중요한 데이터까지 유출되었다고 합니다. 이뿐만 아니라 서버 정보 평문 저장, 장기간 패스워드 미변경 같은 기본 보안도 지키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죠.
KT는 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고가 터졌는데요. 이 문제로 인해 김영섭 대표뿐 아니라 보안과 준법을 담당하는 핵심 경영진까지 증인으로 채택되었어요. 단순 해킹 사건 이상의 파장을 낳고 있죠.
LG유플러스는 아직 대규모 유출 사실이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중국 또는 북한 해커로 추정되는 조직의 공격을 받고 있어서 긴장 상태라고 합니다.
이번 해킹 사고는 단순 기술 문제를 넘어서 국민 생활과 직결된 민생 문제로 떠올랐어요. 그래서 국회는 해킹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과 책임자 문책을 요구하는 입장입니다. KT 관련 지배구조 문제도 함께 도마 위에 올랐고 국민연금까지 증인으로 부르는 등 국감이 ‘통신사 종합 청문회’가 될 것 같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요.
이야기만 들어도 탑급 드라마 같죠? 실제로 해킹 사고 뒤에 숨어 있는 ‘보안불감증’과 ‘책임 떠넘기기’는 많은 이용자가 피해 보고 불안에 떨게 만드는 골칫거리입니다. 이번 사건들을 계기로 통신사들이 얼마나 단단한 보안 체계를 갖추는지가 앞으로 국민 신뢰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잣대가 될 거예요.
만약 여러분도 개인정보 유출이나 해킹 피해를 입었다면 관련 기관과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꼭 확인해 두세요. 보안 사고는 혼자 해결하기 어려우니 전문가 상담이나 정부 지원 정책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앞으로 이런 이슈를 꾸준히 지켜보면 평소에 모르고 지나친 ‘보안과 서비스 책임’의 의미를 더 실감할 수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