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대전에서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 사건은 정부 전산망을 마비시키며 모두를 깜짝 놀라게 했죠. 원인이 된 것은 바로 그리도 익숙한 리튬이온 배터리였습니다.
이 배터리는 에너지저장장치(ESS)의 핵심으로 ‘안전해 보이지만’ 사실 위험성을 안고 있습니다. 내부 온도가 순간적으로 치솟으며 ‘열폭주’ 현상이 일어나면 불길이 쉽게 잡히지 않는 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22시간 가까운 진화 과정에서 봉착한 현실이 이 위험의 무게를 다시 한번 실감나게 해줍니다.
사실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2017년 이후 전국 곳곳 ESS에서 일어난 55건의 화재 사고 중 ‘대형사고’만 따져도 꽤 많은데요. 대표적으로 2022년 성남 판교의 카카오톡 먹통 사태 역시 ESS 화재가 원인이었죠. 이런 사고들은 계속 불안의 씨앗으로 남아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도 제동을 걸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불안 줄이기 위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나 전고체 배터리를 대안으로 내세우곤 합니다. 이들은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화재 위험이 적고 사용 시간이 길다는 장점이 있지만 완전무결하지는 않죠. 서강대 이덕환 교수의 말처럼 ‘불이 안 난다는 보장은 없다’는 거 잊지 말아야 합니다.
결국, 문제는 단순히 배터리 종류를 바꾸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소비자가 믿고 쓸 수 있는 안전한 기술 개발과 철저한 관리 시스템이 절실하다는 점입니다. 신재생에너지와 ESS가 꿈꾸는 깨끗한 미래를 위해서는 주민 수용성도 감안한 사회적 합의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겠죠.
다음번에도 또 뉴스 헤드라인에 ‘배터리 화재’가 실리지 않으려면 말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