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채무
원고 A가 피고 B 회사에 자동차 검사소 위탁운영 보증금 반환, 미지급 수익금 및 급여 지급을 청구하고, 피고 B 회사는 원고 A에게 대여금 반환 및 횡령에 따른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원고 A의 횡령 사실이 인정되어 위탁운영 보증금 반환 청구는 기각했지만, 미지급 수익금 33,048,272원과 미지급 급여 1,215,897원 합계 34,264,169원을 피고 B 회사가 원고 A에게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피고 B 회사의 대여금 및 추가 횡령 손해배상 청구는 모두 기각되었습니다.
원고 A는 2008년부터 피고 B 회사의 자동차 검사소를 위탁받아 운영하였고, 이 과정에서 위탁운영보증금 5,000만 원과 투자금 1,000만 원을 지급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매월 검사소 수익금을 50%씩 나누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원고 A는 2009년과 2014년에 걸쳐 부당 수익금 수령, 불법 차량 합격 처리, 검사비 횡령 등 여러 차례 부당 행위를 저질렀습니다. 특히 2014년 5월 30일에는 재차 횡령 등 불법 행위가 적발될 경우 위탁운영보증금을 포기하겠다는 '각서'를 작성했습니다. 이후 원고 A는 2014년 6월부터 2018년 5월까지 2,967만 5천 원 상당의 검사비를 추가로 횡령하여 벌금 700만 원의 약식명령을 받기도 했습니다.이 사건 위탁운영계약은 2018년 8월 31일 합의로 종료되었고, 원고 A는 2018년 9월부터 피고 B 회사의 직원으로 전환되어 월 400만 원 상당의 급여를 받기로 하고 2019년 3월 23일 퇴직했습니다.계약 종료 및 퇴직 후 원고 A는 피고 B 회사에 보증금 반환, 미지급 수익금 및 미지급 급여를 청구하였고, 피고 B 회사는 원고 A에게 횡령금에 대한 손해배상과 770만 원의 대여금 반환을 주장하며 맞섰습니다. 이처럼 오랜 기간 이어진 계약 관계 속에서 발생한 여러 불법 행위와 금전 거래가 복잡하게 얽혀 법적 분쟁으로 이어진 상황입니다.
법원은 원고 A가 피고 B 회사로부터 미지급 수익금 33,048,272원과 미지급 급여 1,215,897원을 지급받아야 한다고 판단하여 총 34,264,169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2021년 4월 15일부터 2023년 5월 25일까지는 연 5%, 그 다음 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12%의 이자를 지급해야 합니다.반면, 원고 A의 위탁운영 보증금 5천만 원 반환 청구는 원고 A의 횡령으로 인한 손해배상액 예정 약정에 따라 보증금 반환청구권이 상실되었다고 보아 기각했습니다.피고 B 회사의 원고 A에 대한 대여금 770만 원 반환 청구는 실제 대여금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기각했습니다. 또한, 횡령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중 미수금 관련 횡령은 인정되었으나, 이는 이미 손해배상액으로 예정된 보증금 5천만 원으로 배상이 완료되었다고 보아 기각했습니다. 다른 횡령 주장들은 증거 부족으로 기각했습니다.따라서 제1심 판결과 같이 피고 B 회사의 항소와 원고 A의 부대항소를 모두 기각하고, 항소 및 부대항소로 인한 비용은 각자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이 사건은 위탁운영 계약 관계에서 발생한 보증금, 미지급 수익금, 급여, 대여금, 횡령 손해배상 등 복합적인 금전 분쟁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계약의 구체적인 내용과 당사자들의 행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손해배상액 예정 약정의 효력을 인정하면서도, 미지급된 수익금과 급여는 정당하게 지급되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