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 · 기타 금전문제 · 노동
행사 용역 업체 A가 행사 주최 측 B에게 미지급된 용역비 32,500,000원 및 지연이자를 청구하였고, 이에 대해 B는 A가 협찬금 조달 의무를 불이행하여 행사 비용 37,500,000원과 위자료 12,500,000원, 총 50,000,000원의 손해를 입었다며 반소로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B가 주장한 'I' 단체가 법인 아닌 사단으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용역계약의 당사자는 B 개인이고, A의 협찬금 미달성으로 인해 B가 행사 경비를 직접 지급한 것이 A의 책임 있는 손해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항소심 법원은 A의 용역비 청구는 정당하다고 보아 인용하고, B의 손해배상 반소 청구는 기각한 제1심 판결을 그대로 유지하며 B의 항소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피고 B는 축제 행사 주최자로서 원고 A에게 행사 용역을 맡겼습니다. 계약 내용 중 원고 A는 협찬금 유치 업무를 수행하기로 했으나 목표 금액을 달성하지 못했고, 이에 피고 B가 행사 경비를 직접 지불하게 되었습니다. 피고 B는 이로 인해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며 A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동시에, A가 제기한 용역비 청구에 대해서는 계약 당사자가 자신이 아니라 'I'라는 단체라고 주장하며 용역비 지급을 거부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이 사건 용역계약의 당사자가 피고 B 개인인지, 아니면 'I'라는 법인 아닌 사단으로 볼 수 있는 단체인지 여부. 둘째, 'I' 단체가 법인 아닌 사단으로서 실체를 인정받을 수 있는지 여부. 셋째, 원고 A가 협찬금 조달 의무를 불이행한 것이 피고 B에게 직접적인 손해를 발생시킨 것인지, 또는 A가 행사 경비를 직접 부담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
항소심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제1심 판결을 대부분 인용하여, 피고 B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원고 A의 용역비 청구를 인용했습니다. 결론적으로 피고 B의 항소는 본소와 반소 모두 기각되었으며, 항소 관련 모든 비용은 피고 B가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에서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