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매매/소유권
원고 A는 자신의 토지 일부를 피고 B에게 임대하였으나 B는 임대료를 미납하고 토지를 사용했습니다. 또한 B의 임차인인 C는 A의 토지 일부에 식당 운영을 위한 바닥 타일, 조명, 간판을 설치하고 사용했습니다. 이에 A는 B와 C에게 미납된 임대료와 부당이득 반환을 청구하고, 설치된 시설물의 철거를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B에게 미납 임대료와 지연손해금, 그리고 토지 사용에 따른 부당이득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B에게는 바닥 타일 철거를, C에게는 바닥 타일, 조명, 간판 철거 및 부당이득금 지급을 명령했습니다. 특히 C가 재판에 응하지 않아 원고의 청구가 전부 인용되었습니다.
원고 A는 자신의 잡종지 일부를 피고 B에게 임대하였고, 이 계약은 묵시적으로 갱신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피고 B가 2020년 7월부터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았고, 그 사이에 피고 C는 피고 B로부터 건물의 1층을 임차하여 식당을 운영하며 원고 A의 토지 일부에 바닥 타일, 조명, 간판을 설치했습니다. 원고 A는 임대차 계약 해지를 통보하고 미납 임대료, 토지 무단 사용에 대한 부당이득 반환, 그리고 설치된 시설물의 철거를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피고 B는 임대차 계약이 건축법상 도로에 대한 착오로 무효이거나, 임대 면적 부족을 이유로 한 상계 항변을 주장했습니다.
피고 B의 임대료 미납으로 인한 임대차 계약 해지 여부와 원상회복 의무, 특히 B가 설치한 타일, 조명, 간판 철거 책임 소재, 미지급 임대료 및 토지 사용에 따른 부당이득 반환 여부가 주된 쟁점이었습니다. 또한 임대차 계약이 면적 지정 매매에 해당하는지 여부, 그리고 토지 사용에 대한 부당이득액 산정 시 해당 토지가 ‘잡종지’로 평가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도로’로 평가되어야 하는지도 중요한 쟁점이었습니다. 피고 C의 경우 재판 불참으로 인한 원고 청구 자백 간주 여부도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원고 A는 피고 C에 대한 청구가 모두 인용되었고, 피고 B에 대한 청구는 일부 인용되었습니다. 이는 피고 B가 미납 임대료와 토지 사용에 대한 부당이득 반환 의무를 지며, 설치된 타일을 철거해야 할 책임이 있음을 인정한 것입니다. 반면, 조명 및 간판은 임대차 목적물에 직접 설치된 것으로 보기 어렵고 B가 소유권자 또는 처분할 지위에 있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B에 대한 조명 및 간판 철거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피고 C의 경우 재판에 불응하여 원고의 모든 주장이 받아들여졌습니다.
이번 판결에는 다음과 같은 법령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비슷한 문제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