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류/처분/집행
원고 회사가 피고 회사와 오피스텔 매각 중개컨설팅 계약을 맺고 한국토지주택공사에 오피스텔 146세대를 매각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1차 용역비는 지급받았으나, 2차 용역비 약 29억 원을 청구하자 피고는 시공사의 채권 회수 완료 확인이 없다는 이유로 지급을 거부했습니다. 법원은 원고의 2차 용역비 청구와 항소심에서 추가된 선택적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오피스텔 시행사(E), 신탁사(피고), 시공사(참가인 D) 그리고 중개 컨설팅사(원고)는 미분양 오피스텔의 한국토지주택공사 매각을 위한 중개컨설팅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원고는 오피스텔 146세대를 한국토지주택공사에 33,982,000,000원에 매각하는 데 성공했고 1차 용역비로 2020년 7월 24일 1,811,374,400원과 2020년 9월 4일 86,204,800원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2022년 9월 10일과 23일 2차 용역비를 청구하자, 피고는 용역계약상의 지급 조건 중 하나인 '참가인 D의 채권 회수 완료 확인'이 없다는 이유로 지급을 거부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피고에게 미지급된 2차 용역비 약 29억 원(2,922,905,546원)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또한 항소심에서 채무불이행 및 사용자책임에 기한 손해배상 청구를 선택적으로 추가했습니다.
피고가 원고에게 2차 용역비 약 29억 원을 지급해야 하는지 여부와, 용역비 지급 조건인 시공사의 '채권 회수 완료 확인'이 충족되었는지 여부가 쟁점입니다. 또한 원고가 추가한 채무불이행 및 사용자책임에 기한 손해배상 청구가 인정될지 여부도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원고의 2차 용역비 지급 청구와 항소심에서 추가된 채무불이행 및 사용자책임에 기한 손해배상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이에 따라 원고가 피고에게 2,922,905,546원을 지급하라는 청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항소 제기 이후의 소송 총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오피스텔 매각 중개 용역비 지급을 둘러싼 분쟁에서, 법원은 계약상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거나 다른 청구 요건이 인정되지 않아 원고의 모든 청구를 기각하고 피고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이 사건은 주로 계약상의 의무 이행과 용역비 지급 조건 충족 여부에 관한 분쟁입니다.
민법 제756조 (사용자의 배상책임):
민법 제151조 제3항 (조건의 성취와 불성취):
계약을 체결할 때는 용역비나 대금 지급 조건, 특히 특정 주체의 '확인'이나 '완료'와 같은 조건부 조항을 매우 명확하게 명시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의 성취 여부를 둘러싼 분쟁은 자주 발생하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