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혼 · 기타 가사
원고 A와 피고 C는 2007년 결혼한 재혼 부부로 각자 성년 자녀 2명을 두었습니다. 이들은 혼인 기간 동안 경제적 문제, 직계존속, 전혼 가족과의 관계로 자주 다투었습니다. 특히 2022년 7월 피고 C가 원고 A를 과도로 협박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피고 C는 특수협박죄로 벌금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부부는 별거에 들어갔고, 원고 A는 이혼 및 위자료를, 피고 C는 반소로 이혼, 위자료 및 재산분할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혼인관계가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파탄되었고 그 주된 책임이 피고 C에게 있다고 판단하여 이혼을 인용했습니다. 또한 피고 C는 원고 A에게 위자료 1,000만 원을, 원고 A는 피고 C에게 재산분할로 1억 1,300만 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 A와 피고 C는 2007년에 재혼하여 법률상 부부가 되었으나, 혼인 기간 내내 경제적인 문제, 각자의 직계존속, 그리고 전혼 배우자 및 자녀들과의 관계로 인해 잦은 갈등을 겪었습니다. 이러한 갈등이 지속되던 중 2022년 7월 30일, 피고 C가 원고 A의 부정행위를 의심하며 과도를 손에 쥐고 '죽여버리겠다'고 말하며 원고 A를 협박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으로 피고 C는 특수협박죄로 벌금 500만 원을 선고받았고(항소심 진행 중), 이 사건 직후부터 원고 A와 피고 C는 별거에 들어갔습니다. 결국 원고 A는 2022년 8월 2일에 이혼 및 위자료 청구의 본소 소송을 제기했으며, 피고 C 또한 2023년 2월 6일에 이혼 및 위자료, 재산분할 청구의 반소 소송을 제기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C의 특수협박 행위가 혼인 파탄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음을 인정하여 원고 A와 피고 C의 이혼을 인용했습니다. 피고 C에게 혼인 파탄의 주된 책임이 있다고 보아 원고 A에게 위자료 1,000만 원을 지급할 것을 명했으며, 재산분할에 있어서는 원고 A가 피고 C에게 1억 1,300만 원을 지급하도록 결정했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참고할 만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