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 · 노동
이 사건은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의 시공사였던 원고 주식회사 A가 피고 B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이하 '피고 조합')과의 공사도급 가계약 해지가 부당하다고 주장하며 시공사 지위 확인 및 대여금 상환을 요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피고 조합이 원고의 부당한 공사비 증액 요구와 사업비 대여 중단을 이유로 계약을 적법하게 해지했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시공사 지위 확인 주장은 기각했습니다. 그러나 피고 조합이 원고에게 대여받은 사업비에 대해서는, 피고 조합과 조합장, 이사, 감사 등 연대보증 책임을 지는 임원들이 연대하여 원금과 지연손해금을 포함한 4,493,562,148원을 반환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일부 임원(J, K)에 대해서는 연대보증 책임이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주식회사 A는 2018년 2월 피고 B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과 주택재개발사업 공사도급 가계약을 체결하고 사업비를 대여하며 시공사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2020년 1월, 원고 A는 피고 조합이 합의되지 않은 일반분양가 및 조합원 분양가를 책정하여 분양신청을 개시한 것에 대해 재협의 및 업무 중단을 요청했습니다. 같은 시기에 피고 조합은 새로운 시공사를 선정하기 위한 입찰 공고를 냈습니다. 이에 원고는 시공사 선정 절차 중지 가처분을 신청하여 인용 결정을 받았으나, 피고 조합은 2020년 3월부터 4월까지 원고의 무리한 공사비 증액 요구와 운영비 대여금 지급 거절 등을 이유로 이 사건 계약 해지 및 해지를 통보하고, 2020년 4월 정기총회에서 원고와의 계약 해지 안건을 의결했습니다. 이후 관련 가처분 결정이 취소되고, 피고 조합은 2020년 8월 새로운 시공사를 선정했습니다. 원고 A는 이 사건 계약 해지가 부당하다며 시공자 지위 확인을 구하고, 대여한 사업비 및 이행이익의 반환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고 조합이 원고와의 공사도급 가계약을 해지한 것이 적법한지 여부입니다. 둘째, 원고가 피고 조합에 대여한 사업비 및 이에 대한 이자와 지연손해금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범위가 어떻게 되는지 입니다. 셋째, 피고 조합의 임원들(C, E, F, G, H, I, J, K)이 피고 조합의 대여금 상환 채무에 대해 연대보증 책임을 지는지 여부 및 책임의 범위입니다.
법원은 원고의 주위적 청구(시공자 지위 확인)를 기각하고, 예비적 청구(대여금 반환)는 일부 인용했습니다. 구체적으로,
결론적으로, 시공사 주식회사 A는 재개발조합에 대한 시공사 지위를 인정받지는 못했지만, 조합에 대여했던 사업비 원금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조합과 연대보증 책임이 있는 일부 임원들로부터 돌려받게 되었습니다. 반면, 조합은 기존 시공사와의 계약 해지를 정당화하고, 일부 임원들은 연대보증 책임에서 벗어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