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금전문제 · 노동
원고 A가 피고 B와 C에게 미지급된 용역비 2,300,000원을 청구한 사건에서 법원은 조정 결정을 통해 피고들이 원고에게 1,800,000원을 특정 기한까지 지급하고 이를 지체할 경우 연 15%의 지연손해금을 가산하여 지급하도록 명령하였습니다. 원고는 나머지 청구를 포기하였으며 소송 및 조정 비용은 각자 부담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이 결정은 재판상 화해와 같은 효력을 가집니다.
원고 A는 피고 B와 C에게 서비스 제공에 대한 용역비로 2,300,000원을 청구했으나 피고들이 이를 지급하지 않아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법원의 조정을 통해 양측이 합의점을 찾게 된 상황입니다.
미지급된 용역비의 실제 금액을 확정하고 피고들이 해당 금액을 원고에게 지급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었습니다.
피고 B와 C는 연대하여 원고 A에게 2019년 4월 29일까지 1,800,000원을 지급해야 합니다. 만약 이 기한을 지킬 경우 미지급 금액에 대하여 2019년 4월 30일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15%의 비율로 계산된 지연손해금을 추가로 지급해야 합니다. 원고 A는 피고들에 대한 나머지 청구를 포기하였고 소송 및 조정에 들어간 비용은 각 당사자가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법원의 조정 결정을 통해 피고들은 원고에게 청구액 중 일부인 1,800,000원을 지급할 의무를 부담하게 되었고 원고는 나머지 청구를 포기함으로써 용역비 미지급 분쟁이 마무리되었습니다. 이 조정 결정은 재판상 화해와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집니다.
이 사건은 용역비 지급과 관련된 분쟁으로 민법상 계약 이행 및 채무불이행에 관한 규정이 적용됩니다. 특히 채무자가 정해진 기한까지 채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지연손해금을 부담하게 된다는 점은 민법 제390조(채무불이행과 손해배상) 및 제397조(금전채무불이행에 대한 특칙)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법원의 조정 결정은 민사조정법에 따라 재판상 화해와 동일한 효력을 가지므로 확정판결과 같은 법적 구속력을 갖게 됩니다.
유사한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째 용역 계약 체결 시 서비스 내용 비용 지급 기한 지연 시 조치 등을 명확히 문서화해야 합니다. 둘째 분쟁 발생 시 소송 전 조정 제도를 활용하면 신속하고 유연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셋째 조정 결정은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므로 결정 내용을 신중히 검토하고 이의 신청 기한(2주일)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넷째 채권자는 청구액 전액을 받지 못하더라도 분쟁 해결을 위해 일부 청구를 포기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