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행/강제추행 · 디지털 성범죄 · 미성년 대상 성범죄 · 양육
피고인 A는 의붓여동생인 피해자를 2008년 가을부터 2011년까지 약 3년간 총 13회에 걸쳐 강간하고, 이 중 1회는 성관계 장면을 불법으로 촬영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피해자는 당시 만 9세에서 13세 사이의 미성년자였습니다. 원심에서 피고인은 징역 8년을 선고받았고, 이에 피고인은 사실오인, 법리오해, 양형부당을 이유로 항소했습니다. 항소심에서는 검사의 공소장 변경으로 '친족관계에 의한 강간' 죄명이 삭제되었으나, 피해자의 진술 신빙성이 인정되어 사실오인 주장은 기각되었습니다. 최종적으로 항소심 법원은 원심 판결 중 피고사건 부분을 파기하고, 피고인에게 징역 7년 6월, 40시간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 아동·청소년 및 장애인 복지시설 5년간 취업제한 명령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는 2008년 가을부터 2011년까지 의붓여동생인 피해자(당시 만 9세에서 13세)를 약 3년간 13차례 강간하고, 이 중 1차례는 성관계 장면을 불법으로 촬영했습니다. 범행은 주로 부모님이 집을 비운 틈을 타 이루어졌고, 피고인은 촬영한 영상을 빌미로 피해자를 협박하기도 했습니다. 피해자는 2018년경 성인이 된 후 피고인을 고소했으며, 이 과정에서 피해자의 아버지와 피고인의 어머니 간 이혼 소송이 진행 중이었습니다. 피고인은 피해자의 진술에 일관성이 부족하고 허위 진술 동기가 있다고 주장하며 사실오인과 법리오해, 양형부당을 이유로 항소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원심 판결 중 피고사건 부분을 파기하고, 피고인에게 징역 7년 6개월을 선고했습니다. 또한 40시간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를 명령하고, 아동·청소년 관련 기관 및 장애인 복지시설에 각 5년간 취업 제한을 명령했습니다. 검사가 주장했던 '친족관계에 의한 강간' 죄명은 공소장 변경으로 삭제되었으나,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이 인정되어 피고인의 사실오인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은 미성년 의붓남매 사이에서 발생한 장기간의 성폭력 사건으로, 피해자의 오랜 시간 뒤의 고소와 진술 신빙성 판단이 중요하게 다루어졌습니다. 법원은 피해자 진술의 일부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주요 내용의 일관성과 구체성을 인정하여 유죄를 확정했습니다. 이는 성폭력 사건에서 피해자 진술의 중요성과 법원의 신빙성 판단 기준을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