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권/채무
원고 A가 피고 B에게 5,850만 원의 대여금 또는 투자금 정산금 반환을 청구하였으나 항소심 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원고가 주장한 피고의 사기 또는 강박에 의한 합의 주장 역시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보았으며, 피고가 이미 204만 원의 정산금을 원고에게 지급한 사실을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 사건입니다.
원고 A는 2017년 3월경부터 피고 B를 통해 투자하며 수익금을 지급받아 오다가, 2018년 6월 25일 피고와의 대여 또는 투자 거래를 정산하면서 5,850만 원을 돌려받기로 약정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피고는 이를 부인하고, 2018년 7월 3일 정산 결과 2,040,000원을 돌려받기로 합의했으며, 이 금액은 이미 지급 완료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원고는 2,040,000원 정산 합의가 피고의 사기 또는 강박에 의한 것이라며 5,850만 원 전액을 반환해달라고 소송을 제기하여 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주요 쟁점은 원고 A가 피고 B에게 5,850만 원을 대여했거나 투자 거래 정산 결과 해당 금액을 반환받기로 약정했는지 여부입니다. 또한 2018년 7월 3일 이루어진 204만 원 정산 합의가 피고의 사기 또는 강박에 의한 것이었는지도 쟁점이 되었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원고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5,850만 원의 대여 사실이나 투자 거래 정산 결과 5,850만 원을 반환받기로 약정했다는 주장을 인정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원고가 주장한 204만 원 정산 합의에 대한 피고의 사기 또는 강박 주장을 뒷받침할 자료도 없다고 보았습니다. 한편 피고는 2020년 10월 23일 원고에게 인정된 정산금 2,040,000원 및 그 지연손해금을 이미 송금하여 지급 의무를 모두 이행했습니다. 이에 따라 법원은 제1심 판결을 취소하고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원고의 피고에 대한 5,850만 원의 대여금 또는 투자금 정산금 반환 청구는 최종적으로 기각되었으며, 소송 총비용은 원고가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주로 민사소송에서 증명의 책임과 법률행위의 유효성 여부가 쟁점이 됩니다.
금전 대여나 투자 거래를 할 때는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점들을 참고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