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류/처분/집행
K백화점 건물 붕괴 사고는 건축주, 시공사, 설계사, 구조 기술사 및 인허가 관청의 복합적인 과실로 발생했습니다. 사고 후 백화점 소유 회사인 A 주식회사가 피해자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고, 자신의 과실을 제외한 나머지 책임자들(E 주식회사, 현장 소장 G, 건축사 H, 구조 기술사 I, 서울특별시 D구)에게 구상금 및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각 당사자의 공동 불법행위 책임을 인정하고, A 주식회사의 구상금 청구와 건물 멸실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를 일부 인용하면서, 원고들의 영업 손실 및 위자료 청구는 기각했습니다. 특히 D구 공무원들의 부적절한 인허가 행위와 사고 간의 인과관계가 인정되어 D구도 책임을 지게 되었으나 서울시는 책임이 없다고 판단되었습니다.
K백화점은 당초 쇼핑센터 용도로 건축 계획을 수립했으나, 실제로는 대규모 백화점으로 무단 증축 및 용도 변경을 반복하며 건설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공사(E)는 철근 배근 불량, 슬래브 두께 미달 등 부실 시공을 하였고, 건축사(H)는 설계 및 감리를 소홀히 했으며, 구조 기술사(I)는 구조 계산 오류와 안전 점검 시 위험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습니다. 특히 원고 회사(건축주)는 5층을 운동 시설에서 식당가로 무단 변경하고, 지붕에 냉각탑을 무리하게 설치·이전하는 등 유지 관리에 심각한 잘못을 저질렀습니다. 더욱이 서울특별시 D구 소속 공무원들은 뇌물을 받고 불법적인 설계 변경 승인, 가사용 승인, 준공 검사 등을 묵인하거나 도와주어 이러한 부실을 용인했습니다. 1995년 6월 28일 밤부터 29일 새벽까지 건물 5층에서 붕괴 징후가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원고 B, C 및 피고 I는 적절한 대피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결국 1995년 6월 29일 17시 57분경 K백화점 건물이 완전히 붕괴되어 502명의 사망자를 포함한 대규모 인명 피해와 막대한 재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에 A 주식회사는 피해자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한 후, 다른 책임자들에게 구상금 및 손해배상을 청구하게 되었습니다.
K백화점 붕괴 사고의 책임 소재와 각 당사자별 과실 분담 비율을 확정하는 것이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건축주(원고 회사), 시공사(E), 설계사 및 감리자(H), 구조 기술사(I)의 공동 불법행위 책임 여부와 범위, 그리고 지방자치단체(D구, 서울시) 공무원들의 부실한 인허가 행위가 사고 발생에 기여했는지 여부 및 그 책임이 다루어졌습니다. 또한, 피해자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한 원고 A 주식회사의 다른 공동 불법행위자들에 대한 구상금 청구의 적법성 및 범위, 원고 회사의 재산상 손해(건물 멸실, 영업 손실)와 원고 B, C의 정신적 손해(위자료)에 대한 배상 청구의 인정 여부도 중요한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K백화점 붕괴 사고에 대한 공동 불법행위 책임을 인정하고, 사고 발생에 대한 과실 분담 비율을 원고측(A 주식회사, B, C) 70%, E측(E 및 피고 G) 10%, 피고 H 5%, 피고 I 5%, D구 10%로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원고 A 주식회사가 지급한 보상금 중 자신의 과실 분담 비율을 초과한 부분에 대해 피고들(E, G, H, I)에게 구상금을 청구하는 것을 인정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E 주식회사에 대해 36,567,233,314원의 정리 채권을 확정하고, 피고 G은 E과 연대하여 해당 구상금을, 피고 H와 I는 각 18,283,611,657원을 지급하도록 명령했습니다. 또한 건물 멸실로 인한 손해배상금 2,947,938,300원에 대해서도 피고 G, H, I는 E과 연대하여 A 주식회사에 지급하도록 했습니다. 그러나 원고 A 주식회사의 영업 손실에 대한 청구와 원고 B, C의 위자료 청구는 기각했습니다. 서울시의 책임은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법원은 K백화점 붕괴 사고의 책임이 건축주, 시공사, 설계·감리자, 구조 기술사, 그리고 인허가 과정에서 부실을 용인한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등 여러 관계자에게 복합적으로 있음을 명확히 했습니다. 백화점 소유 회사인 A 주식회사가 피해자들에게 보상한 후 다른 책임자들에게 구상권을 행사한 것은 인정되었으나, 회사의 높은 과실 비율(70%)이 책정되었고, 추가적인 영업 손실이나 개인적인 정신적 고통에 대한 배상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이는 대규모 재난 사고에서 다수 당사자의 복합적인 책임과 함께, 인허가 관청의 공무원들의 부실한 행위도 손해배상 책임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판결입니다.
본 판결은 다양한 법률적 원칙을 적용했습니다.
대형 건축물을 계획하거나 시공, 관리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점들을 반드시 유의해야 합니다.